국제 국제일반

[한국건축문화대상/일반주거부문 대상] 반포 577

자투리땅을 '예술작품'으로 승화

2층과 3층으로 이어지는 계단. 건물 벽 곳곳을 수직으로 확장해 넓지 않은 대지를 훌륭하게 극복해 냈다.

건물 현관쪽에서 바라본 반포577의 전경. 3면이 다세대·다가 구로 둘러 싸여 있어 집 주인과 이웃들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 해 건물 외관을 최대한 채운 게 특징이다.

이성관


서초구 방배중학교 뒤편으로 들어서 다소 가파른 오르막길을 따라 형성된 주택가 끝자락에 닿으면 서리풀 공원을 만난다. 등산로입구에는 보기 드문 모양의 주택이 눈에 들어온다. 앞에서 바라보면 다소 폐쇄적인 느낌을 주는 단독주택. 하지만 집 옆으로 난 등산로에 올라서서 바라보면 무릎을 치게 된다. '어떻게 이 땅에 이런 모양의 집을 지을 수 있었을까'라는 생각이 절로 들게 하는 집이다. 주택이 들어선 160㎡ 남짓한 땅은 수 년간 나대지로 남아있었다. 바로 땅의 모양 때문이다. 정방형이 아닌 삼각형 모양이었기 때문에 누구도 집을 지을 엄두를 내지 못했다. 정방형으로 집을 지으려면 자투리 땅을 포기해야 하는데 이 땅들을 포기하기엔 또 땅이 너무 좁아진다. 오랫동안 방치돼온 이 땅은 2년전 이성란 씨의 눈에 띄었다. 도심이면서 풀과 나무가가 까이 있는 단독주택 부지를 찾던 이 씨에게 부지의 입지는 최적이었지만 역시 모양이 문제였다. 이 씨는 결국 오빠에게 이 집 설계를 맡기기로 했다. 이 씨의 오빠인 한울건축 이 성관 대표는 지난해 '숭실대 조만식기념관 & 웨스트민스터홀'로 한국건축문화대상 사회공 공부문 대통령상을 수상한 국내 최고 수준의 실력가. 서울시가 지정한 '특별 경관 관리 설 계자' 18명 중한 명이기도 하다. 특이한 것은 이 대표도 수 년 전 이 부지를 보고 '나중에 건축물을 지어봐야겠다'고 생각 했다는 점이다. 건축가의 욕심은 비슷한 것이 었는지 인근에 거주하던 프랑스인 건축가도 오래 전부터 이 부지에 집 지을 생각을 해왔다며 웃돈을 줄 테니 다시 팔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다듬어지지 않은 이 부지는 설계자에게 상상력을 요구했다. 더구나 이 부지 주변은 서리풀 공원을 향해있는 한면을 빼고 모두 4층 짜리 다가구, 다세대 주택이 둘러싸고 있어 창(窓)을 내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이 대표 는 "이웃 주민들이 창을 통해 마주보지 않게 해달라고 해방어적으로 설계하게 됐다"고말 했다. 수 년간 버려져 있던 땅은 이 대표의 상상 력과 열정이 더해지자 평범한 주택가에서 보기 힘든 멋진 작품으로 재탄생 하게 됐다. 이 대표는 "건물이 완성된 후 일부러 집 옆의 등 산로를 걷곤 하는데 주민들이 '좋은 건물이 들어섰다'고 하는 얘기를 들으면 기분이 좋아진다"고 말했다.
"주변과 조화 이루려는 노력 알아줘 감사"
설계자 이 성 관 한울건축사사무소 대표 "상을 받는 것은 기분 좋은 일이지만 무 엇보다 건축가의 노력을 놓치지 않고 인정 을 해 주는 것 같아 감사하고 반가운 마음 입니다." 이성관 건축사사무소 한울건축 대표는 지난해 사회공공부문에서 대통령상을 받은데 이어 올해는 일반주거부문에서 대통령상인 대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차지했다. 훌륭한 건축가는 주종이 없다는걸 입증한 셈이다. 이 대표는 "상을 받았다고 우쭐할 나이는 지났고 이제는 확신을 갖고 일을 할때"라며 "우왕좌왕 하지 않고 열심히노 력했는데 이런 노력을 인정해줘 기분이 좋았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그의 건축철학은 '주변과의 관계에서해 답 찾기'다. 건축물은 순수 예술이 아니라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좋든 싫든 노출이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공공적 영역이 생길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 대표는 "'나 는 이런걸 하는 사람'이란 낙인을 받고 싶지 않고 브랜드화 되는 것도 싫어한다"며 "같은 주택이라도 위치에 따라 설계는 달 라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어릴 때부터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해 초등학교 때는 각종 미술전에서 상을 휩쓸어 왔다. 고등학교때 별명도 '그 림 잘 그리는 애'였을 정도. 그는 집에 DVD타이틀을 5,000장 이상 갖고 있고 집에 다 담지 못한 타이틀은 수 백장 이상의 음반과 함께 사무실 벽을 채울 정도로 다 방면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 대표는 건축물이 경제적 측면에서만 다뤄지는 점에 아쉬움을 토로했다. 그는 "지금은 (경제적 측면이 강조돼)한강변에 초고층 아파트만 들어서고 있지만 이러다 보면 한국의 디자인 잠재력이 침식당하게 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