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재영의 강한 남성 만들기] 중세 유럽 온천장은 '광란의 소굴'


[김재영의 강한 남성 만들기] 중세 유럽 온천장은 '광란의 소굴' 관련기사 • 성기를 바치고 권력의 음지를 지켜온 내시 • '누드 올림픽' 뺨쳤던 '기생 운동회' • 간택되지 못한 궁녀들 '은밀한 성' 즐겨 • 성적 상상력 자극하는 섹시바 열풍 • 성문화 개방될수록 부부관계 노력해야 • '스와핑'은 일종의 섹스 중독 • 경직된 성관념, 사회생활에도 악영향 • 부부 한쪽 치명적 결함일땐 '입양' 고려를 • 정력제 오용 심근경색·뇌일혈 부른다 • 바른 식습관·운동 '회춘 지름길' • 과중한 스트레스 '섹스리스' 원인 • 선천적 크기보다 후천적 기술이 우선 • 고추 고장 청양의 '큰 코 선발대회' • [김재영의 남성학] 아내들의 반란 • [김재영의 남성학] 동성애 • [김재영의 남성학] 조루 증상 • [김재영의 남성학] 여성의 외도심리 • [김재영의 남성학] 관음증 • [김재영의 남성학] 제모 풍속 • [김재영의 남성학] 발기부전 • [김재영의 남성학] 횟수와 수명 • [김재영의 남성학] 흡연 • [김재영의 남성학] 발기콘돔 • [김재영의 남성학] 性가학·자학 욕구 • [김재영의 남성학] 정력증진 비결 • [김재영의 남성학] 대중목욕탕서도 조심을 • [김재영의 남성학] 성매매특별법과 신종직업 • [김재영의 남성학] 물과 불의 섭리 • [김재영의 남성학] 해외 매춘관광 • [김재영의 남성학] 아내들의 헐리우드 액션 • [김재영의 남성학] 정력제 맹신은 금물 • [김재영의 남성학] 중국인의 性철학 • [김재영의 남성학] 불능 소송 • [김재영의 남성학] 코에 관한 오해의 역사 • [김재영의 남성학] 조상들의 성교육 • [김재영의 남성학] 욕정과 관음증 • [김재영의 남성학] 오르가슴과 임신 • [김재영의 남성학] 성을 통한 건강유지법 • [김재영의 남성학] 노년의 성 • [김재영의 남성학] 사랑의 냄새 • [김재영의 남성학] 매춘방지 • [김재영의 남성학] 오르가슴 데이 • [김재영의 남성학] 남성 외도심리와 본성 • [김재영의 남성학] 성은 효과적인 양생법 • [김재영의 남성학] 호주제와 성 주도권 • [김재영의 남성학] 금슬의 필요조건 • [김재영의 남성학] 속궁합 • [김재영의 남성학] 名器의 조건 • [김재영의 남성학] 과유불급과 성욕감퇴 • [김재영의 남성학] 본능과 질투심 도를 깨우친 큰 스님들은 임종을 앞두고, 거울이나 샘에 비친 자신의 육신을 향해 ‘나와 벗하여 오랫동안 살아왔구나. 이제 편히 쉬거라.’라는 열반송(涅槃頌)을 남겼는데, 불교가 일천한 서양에서 전해져 ‘젊어지는 샘’이란 전설을 만들어 냈다. 십자가 전쟁으로 불교문화를 접한 서양인들은 득도한 스님들이 샘에 들어가 다시 인간으로 환생한다고 여겼다. 해서 지구상 어딘가에 신비의 샘이 있어, 그물로 목욕을 하면, 다시 젊어질 뿐만 아니라 처녀성을 되찾는다고 믿었다. 이에 따라 매년 5월 1일에 목욕을 하는 축제가 내려오고 있는데, 신비한 샘을 찾지 못했기에 경치가 좋은 곳에 야외 목욕탕을 만들어 몸을 씻는 제례의식을 가졌다. 이때, 목욕을 마친 여인들은 처녀막이 다시 생겨났다고 굳게 믿고, 젊은이로 거듭난 남성들과 짝을 지어 숲으로 들어가 환희의 시간을 보냈다. 아무 남자와 수없이 관계를 가져도 목욕만 다시 하면 처녀가 될 수 있었기에 여성들은 적극적으로 성에 탐닉했다. 이러한 관습이 훗날 음란한 온천풍속을 만들어 냈으니, 중세 유럽의 온천장은 귀족과 돈 많은 상인을 유혹하려는 여성들의 집합소이자 광란의 소굴이었다. 따라서 서양의 신비한 샘은 타락한 성문화에 면죄부를 주는 풍속이라고할수있는데, 동양에는 여성의 음란한 욕구를 억누르는 풍속이 있었다. 중국의 북쪽 지방인 포자촌에 작은 샘이 있는데, 모양이 음부 형태이다. 물줄기를 따라 둔덕과 크고 작은 바위가 배열된 모습이 음순과 음핵처럼 생겼는데, 음순안에는 곡식이나 풀을 심는 것을 일절 금지시켰다. 마을 사람들은 음순 형태의 둔덕을 ‘갈마전’ 이라 불렀는데, 갈마(渴痲)는 성에 목마른 여인이란 뜻이다. 갈마전에 무우를 심었다가 크게 낭패를 본 일이 있었다고 하는데, 마을 아녀자들이 모두 음탕하게 변해 외간남자와 눈이 맞아 도망갔다고 한다. 이후로 갈마전에 곡식을 심는 것은 물론이고 발을 딛는 것조차 삼갔는데, 무는 남성의 심볼을 의미한다. 한편, 우리나라에도 이와 같은 유사한 일화가 많은데, 대표적인 것이 안동에 있는 공알(陰核)산이다. 여음을 닮은 이 산의 깊은 계곡에 샘이 있는데, 사시사철야릇한 냄새를 풍기는 물이 흐른다. 이를 여인들의 음풍을 부채질하는 형상이라고 여겼으니, 처방으로 공알산이 마주 보이는 곳에 커다란 남근석을 세 개나 세웠다고 한다. 음기가 강한 여근산을 휘어잡기 위해서는 남근 하나로는 부족하다고 여겼기 때문인데, 지형이나 바위등의 생김새가 심볼을 닮았을 경우 이를 신물(神物)화 하는 것은 세계 공통의 민간 신앙이다. 다만 서양이 이를 빙자해 방종한 성문화를 즐겼다면 동양은 성을 통제했으니 문화적 차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퍼스트비뇨기과원장 drkim@drim2u.co.kr 입력시간 : 2007/03/21 10:1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