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정부, 해외 곡물회사 31일 美에 설립

aT-민간 4개기업 합작…25일 본계약 체결

급격하게 출렁거리는 국제곡물시장에 대응해 정부가 민간 대기업들과 손잡고 추진해온 해외곡물회사 설립방안이 이달 안에 갈무리된다. 해외 곡물회사는 해외 산지의 곡물매입ㆍ계약재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면서 국내 곡물 조달의 전진기지 역할을 할 계획이다. 21일 농수산물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31일 4개 민간 기업과 합작으로 해외곡물회사를 미국 시카고에 설립한다. 이에 따라 국제 메이저 곡물회사들이 장악하고 있는 곡물시장에 우리도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해외곡물회사는 정부가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국가 곡물 조달시스템 구축' 사업의 일환이다. 정부 측에서는 aT가 참여하며 민간에서는 삼성물산ㆍ한진해운ㆍSTXㆍCJ 등 4개 회사가 공동으로 지분을 투자한다. 삼성물산이 마케팅, STX가 선박, 한진해운이 물류, CJ가 국내판로 등을 각각 담당한다. 정부 측에서 새로 설립되는 회사의 지분 40%를, 나머지 4개 민간회사가 60%의 지분을 갖는 방식이다. AT와 이들 민간 기업은 회사이름 등에 대한 조율을 거쳐 25일 본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올해 정부 자금 200억원, 민간 250억원 등 총 450억원을 투입해 콩과 옥수수 10만톤을 이 곡물회사를 통해 수입할 방침이다. 이어 2020년까지 연간 곡물 수입량 1,400만톤의 30%에 해당하는 400만톤을 조달한다. 곡물별로 보면 옥수수 250만톤, 밀 100만톤, 콩 50만톤이 목표이며 옥수수는 30%, 밀은 22%, 대두는 약 40%를 곡물회사를 통해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3대 수입곡물의 70%를 4대 국제 곡물 메이저 회사에 의존하고 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올해 중 미국 현지에 저장ㆍ건조ㆍ운송ㆍ수출 등을 위한 시스템인 엘리베이터(EL)를 확보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국제 곡물 메이저 회사들은 이 엘리베이터를 장악해 후발주자들의 시장진입을 봉쇄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