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건자재업계 "PVC값 파고 넘어라"

LG하우시스 등 창호·바닥재 대체상품 확대 나서

유가 급등으로 염화비닐수지(PVC) 가격이 사상 최고치로 치솟자 이를 주원료로 사용하는 건자재업계가 자구책 찾기에 나섰다. 29일 석유화학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6월 PVC 가격(운임포함 조건)은 톤당 1,180달러로 지난해 7월(871달러)보다 35.4% 올랐다. 같은해 12월 993달러로 뛴 PVC값은 올 들어서도 1,006(1월)->1,105(3월)->1,234(5월) 등 오름세를 지속했다. PVC값은 6월 들어 상승세가 꺾이기는 했지만 2002년(552달러)에 비해 2배나 높은 수준인데다 일본지진에 따른 복구 공사에서 대량 수요가 예상되는 만큼 고공행진은 더 이어질 전망이다. 제품가에 PVC값이 절반을 차지하는 PVC창호와 바닥재가 주력제품인 국내 건자재업계로서는 심각한 악재인 것이다. 이 때문에 바닥재의 경우 업체마다 위기 극복을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LG하우시스는 지난해 옥수수에서 추출한 식물성 원료 PLA를 주원료로 내놓은 친환경 바닥재인 '지아마루'의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이 제품은 세계 최초로 옥수수 수지와 구연산, 황토, 목분 등 10여가지 천연재료로 만들어져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친환경성까지 갖춘 것이 특징이다. 회사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PVC바닥재의 대안으로 지아마루 시장을 키우려 한다"며 "2,000억원대인 PVC바닥재의 10% 수준까지 매출 규모를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세계 2위 바닥재 업체인 미국 쇼(SHAW)와 손잡고 올 하반기부터 북미지역에 지아마루를 선보일 계획이다. 금호휴그린은 고내열성 특수 플라스틱(ABS)을 원료로 한 ABS창호를 통해 기존 PVC창호 시장을 대체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미국 FDA가 식기용기 소재로 사용을 허가할 만큼 친환경적인 ABS는 자유로운 색상 구현도 가능해 창호에 적용하면 흰색이 전부인 PVC창호와 비교했을 때 디자인이 우수하다. 특히 비싼 PVC와 달리 최근 ABS는 값도 싸고 모사인 금호석유화학 자체적으로 조달 가능하다는 점이 잇점이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에는 ABS 창호가 PVC보다 10% 비쌌지만 최근에는 가격 차이가 거의 없어졌다"며 "소재의 강점도 많아 생산라인 확충 등으로 50% 수준인 ABS창호 비중을 더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한화L&C는 미국과 브릭스(BRICs) 지역의 대형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를 발굴하고 유럽 시장에 산업용 PVC타일 수출을 추진하는 등 PVC제품의 해외 판로를 모색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