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당국 잇단 경고에도 은행권 외화차입 여전

90% 이상이 대출 활용…지방·특수은행 차입 꾸준히 늘어<br>외국계 은행도 "걱정할 만한 수준" …원화절상 부채질 가능성 우려


재정경제부ㆍ금융감독원 등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은행권의 외화차입에 대해 연이어 경고 메시지를 내놓았다. 단기외채 증가가 원화절상을 부추기는 등 경제전반에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재경부의 한 고위 관계자 “청와대에서는 지난해 중순 이를 감지해 재경부에 세부 내역을 알라보라고 지시했다”며 “이에 따라 지난 2006년 하반기부터 금융감독 당국이 전방위로 나서 은행장을 만나고 행정지도를 하는 등 각종 대책을 강구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금융기관의 외화차입 행태는 개선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차입외화의 90% 이상이 개인ㆍ기업 대출로 활용되고 있다. 일부 금융기관은 외화 대출금 대비 차입금 비중이 100%를 넘는 곳도 적지않아 통화스와프 등 파생상품 거래보다는 엔ㆍ달러 대출에 더욱 치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방은행 외화차입 큰 폭 늘어=2005~2006년 외화차입 증가율을 보면 1위는 제주은행이다. 차입액이 2005년에는 20억원에서 2007년에는 170억원으로 무려 750% 늘었다. 제주은행뿐 아니라 지방은행에서 외화차입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광주은행이 2,960억원에서 5,770억원으로 94.9% 증가했다. 전북은행도 이 기간 동안 40.4, 경남은행 40.5%, 부산은행 43.9%, 대구은행 29.0% 등 전제 은행 평균 상승률(20.1%)을 크게 웃돌았다. 이밖에 특수 은행으로 분류되는 수협중앙회도 외화차입금이 2005년 4,290억원에서 2006년 7,690억원으로 79.3% 늘었다. 정부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일반 시중은행에 대한 건전성 감독에 치중하고 있는 가운데 감독에서 다소 벗어난 지방은행과 일부 특수은행이 새로운 외화차입 주도 세력으로 부상한 것이다. ◇외국계 은행도 한몫=금융감독 당국은 지난주부터 외국계 은행을 대상으로 외화차입에 대한 행정지도에 나섰다. 이들 외국계 은행의 2005~2006년 외화차입은 우려할 만한 수준이다. SC제일은행의 경우 차입액이 2005년 1조720억원에서 2006년에는 2조3,150억원으로 116.0% 증가했다. 외환은행도 이 기간 동안 4조470억원에서 4조6,230억원으로 14.2%, 씨티은행도 38.9% 각각 늘었다. 특히 외환은행과 씨티은행의 경우 외화차입이 전제 조달자금에서 적지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외환은행의 외화차입 조달 비중은 2005년 6.52%에서 2006년 7.15%, 씨티은행은 5.55%에서 7.98%로 7%대 벽을 넘어선 상태다. ◇외화차입, 파생상품보다 대출에 치중=은행별로 보면 극히 몇 은행을 제외하고는 외화대출금이 크게 늘었다. 금감위의 한 관계자는 “통화스와프 등 파생상품 거래는 외화대출금에 포함돼 있지 않다”며 “빌려온 외화의 거의 대다수가 대출 형태로 운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은행별로 보면 제주은행의 외화대출이 2005년에는 2,800만원에 불과했으나 60억원으로 급증했다. 우리은행도 이 기간 동안 외화대출이 25.4%, 하나은행(신)이 100.9% 증가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광주은행도 외화대출이 133% 증가하는 등 거의 대부분의 은행에서 외화대출이 크게 늘었다. 2005년 평잔 기준으로 외화대출금 대비 차입금 비중이 전체 은행의 경우 평균 87.7%에서 2006년 92.4%로 늘어났다. 시중은행도 90.1%에서 95.9%로 늘었다. 한마디로 들여온 외화를 대출로 운용하는 비중이 더 늘고 있다는 의미다. 이런 몇몇 은행은 2006년 기준으로 외화차입급보다 외화대출액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