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고려시대 물품 꼬리표 '목간' 첫 발견

청자운반선 2차 발굴결과 발표

문화재청은 11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충남 태안 대섬 인근해역에 침몰한 고려시대 청자운반선의 2차 발굴결과를 발표했다. 2차 발굴품에는 청자의 출항지 등이 기록된 물품 꼬리표인 목간이 포함됐다. 1976년 발굴된 신안선에서 중국 목간이 발견된 적은 있지만 수중에서 고려시대 목간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 적외선 촬영을 통해 목간을 분석한 결과 '탐진○재경대정인수(耽津○在京隊正仁守)', '○○재선진(○○載船進)', '○안영호부사기일과(○安永戶付沙器一(果+衣))'라는 문구와 수결(사인)이 확인됐다. 특히 목간에 나타난 탐진(耽津:강진의 옛 이름)이라는 지역명을 통해 청자의 형태와 특징만으로 강진산일 것으로 추정한 학계의 분석이 맞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강진산 청자를 싣고 개경으로 향하던 청자운반선이 대섬 앞바다의 거센 물살에 휩쓸려 침몰했을 것이라는 추정도 설득력을 더하게 됐다. 국립해양유물전시관은 목간 분석을 통해 생산지뿐만 아니라 출항지, 거래관계, 운송책임자, 선박 적재 단위 등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까지 인양한 1만9,000여 점의 청자 중에는 지금까지 알려진 청자 벼루와는 달리 철화와 퇴화문 기법으로 문양을 표현한 '청자철화퇴화문두꺼비형벼루(靑磁鐵畵堆花文蟾形硯)'가 포함됐다. 두꺼비의 피부와 눈동자를 철화와 백퇴화로, 입과 다리부분은 음각으로 표현한 상등품의 청자로 평가되고 있다. 이로써 출토유물이 상감청자가 발달하기 전에 제작됐을 것이라는 추측이 확실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