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증시] 다우 1.59% 하락 마감

27일(현지시각) 미국 증시는 채무협상 난항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데 이어 미국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됐다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베이지북 발표까지 겹쳐 200포인트 가까이 급락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198.75포인트(1.59%) 떨어진 1만2,302.55포인트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27.05포인트(2.03%) 내려간 1,304.89포인트를, 나스닥 종합지수는 75.17포인트(2.65%) 하락한 2,764.79포인트를 각각 기록했다. FRB는 이날 발표한 베이지북에서 지난달부터 이달 15일까지 12개 연방준비은행 관할 지역 중 8개 지역의 경제활동이 둔화됐다면서 미국의 경제 성장 속도가 더 느려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FRB는 지난달 발표한 베이지북에서는 4개 지역에서만 경기 둔화세가 확인됐다고 밝혔었다. FRB는 소비지출 감소와 공장생산 둔화 때문에 경제 성장 속도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주택시장에 대해서는 여전히 취약하다고 평가했고 노동시장 역시 부진하다고 진단했다.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물가 상승 압력이 여러 지역에서 완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제조업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인 내구재 주문은 예상 밖으로 대폭 감소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6월 중 내구재 주문은 전월보다 2.1% 줄었다. 전문가들은 지난달 내구재 주문이 0.3% 증가한 것으로 것으로 추정했었다. 5월 중 내구재 주문 증가율도 애초 2.1%에서 1.9%로 하향 수정됐다. 미국의 채무한도 증액 및 재정적자 감축 시한이 다음 달 2일로 다가왔지만, 정치권의 협상은 난항을 거듭하고 있어 시장에서 불확실성은 증폭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정치권에 타협을 촉구하고, 국제통화기금(IMF)과 국제 신용평가사가 미국의 디폴트(채무상환 불이행)로 인한 충격을 수차례 경고하고 있지만, 민주당과 공화당은 대립을 계속하고 있다. 공화당은 자신들이 만든 별도의 채무한도 증액 및 재정적자 감축 안에 대해 이날 하원 표결을 실시할 예정이었지만, 28일까지 연기하기로 했다. 한편, 미 재무부는 미국의 최근 조세 수입 등이 좋아져 다음 달 10일까지는 디폴트(채무상환 불이행)를 피할 수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채무한도 증액이 이뤄지지 않으면 다음 달 2일 디폴트를 피할 수 없다며 보도내용을 부인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