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우리은행 국내자본이 인수해야"

과거 10년간 포철등 국민주방식 민영화 실패


뉴욕을 방문 중인 박해춘 우리은행장은 4일(현지시간) “과거 10년 포철과 국민은행 등 국민주 방식의 민영화는 (외국인의 손에 넘어가) 실패했다”고 규정하고 “우리은행 민영화에 산업자본을 참여시켜 국내 자본이 인수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행장은 이날 뉴욕특파원과의 간담회에서 “10년 전 실패한 민영화의 전철을 절대 되풀이해서는 안된다”며 “우리은행은 기업금융을 주로 하기 때문에 민영화를 잘못하면 외국인이 한국의 주요 기업까지 장악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우리은행은 삼성ㆍLGㆍ포스코 등 13개 대기업의 주거래은행이다. 박 행장은 “우리은행은 소매금융에 강한 국민은행 등과 다르기 때문에 민영화 시기뿐만 아니라 방법도 중요하다”며 “금산법에 묶인 130조원의 산업자본이 금융자본화하는 길을 터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행장은 민영화 방식에 대해 “대기업 컨소시엄 30%, 중소기업 컨소시엄 30%, 나머지는 국민연금 등 연금에 매각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며 “지금 그대로 매각하면 외국인에게 넘어갈 우려가 커 정교한 민영화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외국계 국부펀드를 주주로 하는 모 은행이 우리은행 인수에 강한 집착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박 행장은 우리은행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투자손실과 관련, “전체 투자금액의 92%에 해당하는 5,000억원을 지난해 대손충당금으로 쌓아 부실을 모두 털어냈다”며 “추가적인 부실 요인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은행의 부실노출 규모가 압도적으로 많은 데 대해 “다른 은행보다 해외투자 규모 자체가 컸기 때문”이라며 “이번 손실로 해외사업을 축소하기보다는 귀중한 경험을 토대로 해외 부문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행장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대해 “미국 정부가 초기에 강력한 대응을 내놓았어야 했다”면서 “미 정부가 뒤늦게나마 강력한 해결의지를 표명하고 있어 연말이 지나면 잡힐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