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2월 '매서운 고용한파' 닥친다

희망근로 중단·중장년층 정책 일자리 사라져<br>내달엔 대학 졸업생 쏟아져 고용대란 우려도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5일 새벽 성남인력시장을 찾는다. 지난해 2월 취임한 후 첫 현장방문이 이곳이었던 만큼 올해 윤 장관의 정책 목표가 고용확대에 방점을 찍고 있다는 것을 확연하게 보여준다. 새해 벽두부터 윤 장관이 성남인력시장을 찾을 만큼 1ㆍ2월 고용시장에 매서운 한파가 불고 있다. 1~2월 희망근로가 중단되며 중ㆍ장년층과 노인 등에게 주어진 정책일자리가 사라지고 오는 2월에는 50만~60만명에 달하는 고교ㆍ대학 졸업생이 쏟아진다. 3일 기획재정부와 노동부ㆍ통계청에 따르면 정부의 재정 지원 일자리가 지난해 11월 대부분 마무리되며 지난해 12월1~23일 실업급여 신청자 수는 7만1,885명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37.3% 늘었다. 이러한 실업급여 신청자 증가는 1ㆍ2월 연초 재정 지원 일자리가 줄어드는 등 일자리 공급 감소요인과 졸업시즌에 따른 일자리 수요 증가가 맞물리며 고용시장에 한파로 불어닥칠 것으로 전망된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희망근로를 지난해 25만명에서 올해 10만명으로 줄인데다 올 3~6월 4개월간 실시하기로 해 사실상 1~2월은 공백기"라며 "민간 고용시장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졸업생이 쏟아지며 자칫 고용대란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청년 인턴의 경우 공공기관 1만2,000명, 중앙 및 지방정부 1만7,000여명, 중소기업 3만7,000명 등 6만6,000명을 운영했으나 대부분이 정식 직원으로 채용되지 못하고 다시 거리로 내몰렸다. 정부는 지난해 말까지 시행하려던 청년 인턴제를 6월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으나 예산안 통과가 늦어지면서 1월 말 또는 2월에나 본격적인 시행이 가능하다. 더구나 행정 인턴은 올해 7,000명, 공공기관 인턴은 5,000명 수준으로 줄어들어 자리 구하기도 어렵다. 국가공무원 채용 또한 지난해 3,291명에서 올해 2,514명으로 23.6%(777명) 감소했다. 민간 부문 일자리도 구조조정 한파에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KT는 사상 최대 규모인 6,000여명의 명예퇴직을 확정했으며 기업은행은 희망퇴직 등으로 구조조정을 했고 삼성화재는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