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8개 자사고 중 7곳 운영 개선 계획안 제출

지정취소 유예 몇곳 될지 관심

서울시교육청이 지정 취소 대상 자사고 8곳에 제시한 운영개선계획안 제출시한이 종료됨에 따라 이 가운데 몇 개 학교의 자사고 지정 취소 처분이 유예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9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학생 선발권 포기가 포함되지 않은 자사고의 운영개선계획은 '개선계획'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교육과정정책과의 한 관계자는 "평가 결과 미흡한 부분으로 지적된 부분을 다각적으로 보겠지만 (자사고가) 학생 선발 효과에 기대지 않고 어느 정도로 운영 개선 의지를 갖고 있느냐를 고려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조희연 교육감은 지난달 4일 자사고 평가 결과를 갖고 내년에 시행되는 2016년도 자사고 입학전형부터는 면접을 없애고 지원학생 전원을 성적 제한 없이 추첨으로 선발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결국 이들 8개 학교가 자사고 지위를 유지하는 방법은 학생선발권 포기 쪽으로 굳어진다.

관련기사



자사고가 학생선발권을 포기하게 되면 오직 추첨 선발 방법을 통해 학생들을 선발하게 돼 우수한 학생 선발을 중시하는 자사고에는 타격이 될 수 있다.

앞서 광주 송원고가 지난 8월 그간 상위 30% 학생을 대상으로 면접을 통해 학생을 선발하던 방식을 포기하면서 자사고 지위를 유지한 전례가 있는 만큼 일부 학교는 송원고의 방법을 따를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서울교육청은 운영개선계획을 제출하는 학교에 한해 최대 지정 취소 철회부터 최대 2년간 지정 취소 유예 등 여러 방안을 두고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생선발권 포기에 따른 취소 유예 방침과 관련해 교육부는 "선발권 선택 여부는 자사고 학교장의 권한"이라며 "교육청이 지정 취소를 보고할 경우 종합적 판단을 거쳐 입장을 표명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