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4년 1월25일, 프랑스 남부 소도시 샤모니. 16개국 258명의 선수단이 들어왔다. ‘국제 동계 스포츠 주간’의 개막식 광경이다. 행사를 주관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올림픽’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못했다. 북유럽 3국의 반대 탓이다.
피겨스케이팅이 채택된 4회 런던 올림픽 이후 동계 올림픽을 열자는 논의가 고개를 들 때마다 국제 경기를 독점하고 있던 북유럽 국가들은 결사 반대에 나섰다. 대안으로 나온 게 하계 올림픽의 서막으로 동계대회를 열되 올림픽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다는 방안. 절충의 산물인 샤모니 대회가 뜻밖의 성공을 거두자 IOC는 정기 개최를 강행, 샤모니 대회를 제1회 동계 올림픽으로 간주했다.
어정쩡한 출발과 달리 동계 올림픽은 빠르게 자리잡았다. 규모도 커졌다.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오는 2월10일 열릴 20회 대회에는 85개국 5,000여명의 선수단이 자웅을 겨룰 예정이다. 영화 ‘쿨러닝’처럼 눈과 얼음이 없는 나라도 참가하려고 애쓸 만큼 저변이 확대되자 유치경쟁은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
경쟁의 진짜 이유는 돈. 부자들의 종목이 대부분이어서 스폰서 기업이 많이 따라붙는다. 점프를 마치거나 코스를 끝낸 선수들이 스키를 어깨에 걸치고 사진을 찍는 간접광고가 선보인 것도 동계 올림픽을 통해서다.
올림픽의 상업화 논란 속에 개최지에 떨어지는 돈도 점점 불어나고 있다. 2010년 개최지인 캐나다 밴쿠버시가 예상하는 경제효과는 최대 86억달러. 밴쿠버에 3표차로 밀렸던 강원도 평창은 2014년 22회 대회를 기약하고 있다. 유치시 17조원가량의 직간접 경제효과가 기대된다. 올해 강원도 예산 6조6,348억원의 2.56배에 이르는 규모다. ‘재도전 성공’이라는 낭보를 기다려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