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명박특검 "검찰서 수사 안해 우선 대상"

BBK·다스등 의혹 전면 재수사 부담 느낀듯<br>한독등 당시 사업 관련자 줄소환 임박<br>서울시 "본청도 조만간 압수수색 받나" 촉각

이명박 특검 수사팀이 18일 상암 DMC 특혜 의혹과 관련, 마포구 상암동 ㈜한국산학협동단지 사무실을 압수수색 한 뒤 압수품을 담은 박스를 트럭에 싣고 있다. /박서강기자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에 대한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정호영 특별검사팀은 우선 수사대상으로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특혜 의혹 사건을 겨냥했다. ‘DMC사건’은 이 당선인이 서울시장 재직 시절 불거진 것이라는 점과 지금까지 검찰 수사가 한번도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1차 수사대상이 될 것으로 예견돼왔다. 정 특검도 출범 첫날 “DMC 의혹이 우선 대상”이라고 공언한 바 있다. 더구나 특검으로서는 검찰이 이미 광범위하게 수사해 결과를 발표한 BBK나 도곡동 땅, ㈜다스 차명보유 의혹 등에 대해 전면 재수사에 나서기는 부담스럽고 수사기간 등을 감안하더라도 DMC 사건에 대한 의혹 규명이 먼저라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크다. 나머지 BBK나 다스 차명보유 의혹, 김경준씨가 주장하는 검찰의 회유ㆍ협박설 등은 수사가 상당 부분 이뤄진 만큼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다는 관측이다. ◇상암동 DMC, 왜 첫 압수수색 했나=DMC 사건은 BBK와 ㈜다스 차명보유 의혹 등과 함께 이 당선인 관련 주요 의혹이었지만, BBK처럼 한나라당 경선 때나 대선 기간에는 전면에 등장하지 않았다. 하지만 대통합민주신당 등은 지난해 말부터 “이 당선인이 지난 2002년 서울시장 재직 시절 서울 상암동 DMC 부지를 ㈜한독산업협동단지(한독)에 특혜 분양했다”며 관련 의혹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특검도 이를 감안해 이날 한독 등 5곳에 대해 전격 압수수색을 펼쳤다. 의혹의 핵심은 이 당선인이 시장이던 2002년 12월 자본잠식 상태의 한독에 외국기업에만 분양할 수 있는 부지를 특혜 분양했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특히 한독은 외국기업과 연구소를 유치해야 한다는 계약을 위반하고 32층 오피스텔을 지은 뒤 내국인에게 일반 분양해 6,000억원이 넘는 분양 수입을 올렸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일반 분양과정에서 수백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이는 당시 서울시장이던 이 당선인 등 윗선의 개입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라는 게 신당 측의 주장이다. 이와 관련, 신당 측은 지난해 10월 말 서울시 공무원 5명과 한독 관계자 3명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사기 및 배임ㆍ횡령) 혐의로 고발했다. ◇관련자 줄소환 임박=특검팀은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상암 DMC 분양 과정에서 당시 서울시장이던 이 당선인 등 윗선의 개입이 있었는지에 대한 물증 확보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특검은 서울시로부터 상암 DMC 땅을 분양받은 한독과 한독이 설립한 진명정진학원 두 곳의 대표와 이사장을 맡고 있는 윤여덕씨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특검은 또 DMC 사업에 관여했던 서울시 관계자들의 자택도 이날 압수수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한독과 서울시가 부지 분양 계약을 맺는 과정에서 오고 간 각종 서류와 자금흐름 추적에 주력하는 한편 이르면 이번주 말부터 한독과 서울시 관계자들을 소환해 강도 높은 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서울시 당혹…본청 압수수색에 촉각=서울시는 특검팀이 상암동 DMC 사건과 관련한 압수수색에 착수하자 다소 당황해 하는 분위기다. 서울시는 하루종일 압수수색 대상에 서울시나 산하 투자ㆍ출연기관이 포함돼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느라 바쁘게 움직였다. 서울시는 특검팀이 조만간 시 본청과 산하 투자ㆍ출연기관의 상암 DMC 관련 부서에 대한 압수수색도 벌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이와 관련, 특검팀은 상암동 DMC 의혹과 관련해 서울시에 대한 감사를 진행 중인 감사원에 자료를 제출해달라고 요구했으나 감사원은 감사가 끝나지 않았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17일 제출 거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일부에서는 감사원이 DMC 관련 서울시 감사자료 제출을 미적거리고 있는 이유가 2005년 관련 제보를 받고도 서울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비난을 피하기 위한 차원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