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檢 칼날 "이젠 정·관계 겨누나"

■ 검찰 정몽구 회장·정의선 사장 소환<br>비자금 용처 수사 조만간 착수 밝혀<br>정치권 중심 "로비 대상 누구" 무성<br>총수 일가 비리 혐의도 확보한듯

대검 중수부가 M&A 관련 회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한 지난 4일 서울 양재동 현대차 본사 직원들이 회사 로고 '드라이브 유어 웨이' 가 걸린 벽을 따라 걸어가고 있다. /김주성기자

검찰의 현대차 수사가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총수 일가의 소환을 거쳐 정ㆍ관계로 확산될 조짐이다. 6일 검찰이 정몽구ㆍ정의선 부자의 소환방침을 공식적으로 처음 언급하고 비자금 용처 수사에 조만간 본격 착수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검찰이 정의선 사장 소환 가능성을 내비친 것은 처음이 아니지만 정몽구 회장까지 거론한 것은 예사롭지 않은 사태 전개다. 정 회장의 귀국을 압박하기 위한 메시지라는 데 무게가 실리지만 검찰이 총수 일가에 대한 비리 혐의를 확보하고 시기만 저울질하고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정 회장이 귀국을 늦출 경우 ‘사법처리 카드’가 현실로 나타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글로비스에서 현대차 비자금 입출금 장부를 확보하고 김재록씨 수사에서도 성과를 거뒀다”는 검찰의 말을 해석해보면 총수 일가가 관련된 혐의를 상당 부분 입증했으며 곧 비자금 용처 수사에 나설 방침이라는 것을 읽을 수 있다. 총수 일가 소환 가능성 언급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검찰이 정 회장의 소환 카드를 꺼낸 것은 수사의 필요성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대차 수사의 핵심인 비자금 용처를 밝히기 위해서는 정 회장의 협조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것이다.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이주은 글로비스 사장은 금고관리 책임자인데 금고 책임자가 장부에 누구에게 줬다고 기록하지 않는다. 대기업이고, 조직이어서 (비자금의) 보관 책임자와 집행자가 다르다”며 용처 파악을 위해 정 회장의 귀국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했다. 검찰이 정 회장 귀국을 연일 강도높게 압박하고 있는 것은 이 글로비스 사장과 현대차 기획총괄본부 임직원들의 조사를 통해 현대차그룹이 글로비스와 현대오토넷 등을 이용해 조성한 비자금의 전체 규모와 사용액수를 파악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만약 정 회장이 예정대로 귀국한다면 비자금 사용처 수사는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정 회장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정 사장을 대상으로 검찰은 어떤 목적으로, 누구에게 비자금을 전달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현대차 수사는 비자금 사용처가 최종 목적지가 되는 셈이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기업 비자금 수사에는 3단계가 있으며 비자금 조성 경위 수사 다음이 비자금 규모, 그 다음은 용처 수사”라며 “현대차 수사는 용처 외에는 상당부분 파악된 상황”이라고 말해 용처 수사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비자금의 속성상 그 용처는 정ㆍ관계를 향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검찰의 사용처에 대한 본격 수사는 정ㆍ관계로의 파급을 의미한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벌써 전직 고위 경제관료, 현직 장관 등의 이름이 로비 대상이었다는 설이 흘러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검찰이 글로비스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비자금 입출금 장부 조사를 통해 로비대상을 상당 부분 이미 파악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