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포공항 국제선 3~4개만 늘듯

■ 항공정책기본계획 수립방안

관광유치 가능 中도시로 제한

지역주민 소음피해 등도 고려

김포공항의 국제 항공노선이 지금보다 3~4개 더 늘어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교통연구원은 28일 서울 마포구 중소기업DMC타워에서 열린 제2차 항공정책기본계획(2015~2019년) 수립방안 공청회에서 김포공항의 국제선 기능이 현재보다 확대돼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항공정책기본계획 수립방안에 따르면 인천공항의 허브 경쟁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김포공항의 신규 수요 창출이 가능하도록 국제선을 늘릴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항공정책기본계획은 국토부에서 앞으로 5년간 공항 정책을 결정 짓는 데 핵심이 되는 연구 결과이다.

관련기사



김포공항의 국제선 증편은 중국과 일본의 신규 노선에 한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공개된 선정 기준을 살펴보면 동북아 특히 국내 관광수요 유치가 가능한 중국 도시로 한정됐다. 또 인천공항에 정기노선이 미개설됐거나 대한항공 등 국적사가 미취항하며 환승 비율이 낮은 도시로 제한하도록 했다. 또 소음 피해 등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고려해 확대 규모를 최종 결정하겠다는 전제도 달았다. 김석기 한국공항공사 사장이 "김포공항의 국제선 증설이 최우선 과제"라고 내걸 정도로 의욕을 보였지만 인근 주민들의 소음 민원 때문에 국제선 증설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선정 기준을 고려했을 때 현재 국제선 증편 대상지는 많지 않다. 특히 중국의 경우 대다수 도시가 이미 인천공항과 정기노선을 운영하고 있어 증편이 어렵다. 한국공항공사 관계자는 "현재 조건을 비춰봤을 때 일본 후쿠오카·하코다테 노선 정도만 확장이 가능하며 중국 노선은 아예 신규 개설이 막혀 있다"며 "예상보다 확대 조건이 너무 강하다"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