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증시살리기' 총력전 돌입

자사주 매입제 이어 배당소득세율 인하<br>비거래주식 매각쉽게 현금보상등 허용<br>인민은행도 증권사 유동성지원등 나서


중국정부가 침체에 빠진 증시를 살리기 위해 상장사들의 자사주 매입제도를 도입한 데 이어 배당소득세 인하와 증권사에 대한 구제금융을 추진하는 등 활성화 대책을 잇따라 쏟아내고 있다. 중국 재정부와 국가과세부는 주식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한시적으로 개인투자자들의 배당 소득세율을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낮추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현재 개인투자자들이 당국에 내는 배당소득세율은 20%. 따라서 앞으로 개인들은 주식이나 현금 배당을 받았을 때 10%의 세금만 내면 된다. 인민일보는 이를 통해 약 26억위앤(약 3,140억원)의 자금이 개인 주머니로 다시 돌아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지분을 포함 비거래(non-tradale) 주식의 매각을 손쉽게 하기 위한 조치들도 취해졌다. 우선 재정부 등은 정부나 최대주주들이 자신들의 비거래 주식을 매각했을 때에는 시장 유통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들에게 주식 또는 현금으로 보상을 하도록 했으며 배상을 받은 주주들에 대한 세금인 인지세는 부과하기 않기로 했다. 중국 중앙은행도 증시 활성화를 위한 조치에 동참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이날 증권업계에 대한 지원대책의 일환으로 셰닌&왕궈, 후안 등 2개 증권사에 대해 유동성을 지원하기로 했다. 아직 지원규모와 시기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에 앞서 중국증권감독위원회는 상장 기업에 대해 자사주 매입제도를 도입, 최대주주나 정부 지분을 매각한 후 두 달 간 주가 안정을 위해 회사가 주식을 되살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펀드도 직접투자를 할 수 있게 하는 등 규제 완화책을 제시한 바 있다. 중국이 증시 활성화에 나선 직접적인 원인은 최근 정부보유 지분의 매각 발표가 있은 후 물량 부담에 대한 우려로 주가가 곤두박질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증시 액소더스’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때문이다. 실제로 상하이 종합지수는 지난해 15%에 이어 올해 12.5% 추가 하락했고 13일에는 정부 대책 발표로 진정되기는 했지만 한 때 주가가 2% 이상 떨어지기도 했다. 신화통신은 이날 “전체 주식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비거래주식은 시장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모든 시장 위험은 개인투자자들이 짊어지게 된다”며 “이러한 비 합리적 구조가 투자자들을 더욱 실망스럽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이유는 주가 폭락이 중국의 기업 가치 하락으로 연결되면서 해외 상장시 헐값 매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이와 관련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날 “중국 국내시장에서의 주가 하락은 해외 상장 주식에 대한 프리미엄을 깎아 먹을 수 있다”며 “이러한 현상은 기존 주주의 입지를 더욱 약화시킬 것”으로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