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한강변 초고층 프로젝트, 현장을 가다] <3> 합정전략정비구역

市 개발 계획 축소에 용적률·층고 제한<br>"사업성 낮다" 주민 반발… 거래도 끊겨



"6~7개월째 거래가 단 한 건도 없습니다. 주변 부동산들 모두 개점휴업 상태입니다." 지난 8일 찾은 지하철 2ㆍ6호선 합정역 인근 중개업소들은 손님의 발길이 오랫동안 뚝 끊긴 상태였다. 한 부동산에 들어가 합정전략정비구역 개발(조감도) 진행상황과 거래현황에 대해 묻자 "손님이 몇 개월째 없기 때문에 정보도 거의 없다"는 답이 돌아왔다. 합정전략정비구역이 투자자들의 관심권에서 벗어난 지 오래됐기 때문에 사실상 부동산에서도 손을 놓고 있다는 뜻이다. 지하철 6호선 상수역 4번 출구에는 오세훈 시장의 '한강변 재개발정책'을 강하게 비판하는 '상수역 특별구역 주민 대책위원회' 명의의 빨간색 플래카드 2개가 걸려 있었다. 상수역 인근 중개업소의 한 관계자는 "사업성이 낮다고 분석되면서 전략정비구역에 반대하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존치구역 주민 거센 반대=합정역과 상수역을 잇는 둑막길 구간에서 한강변까지 펼쳐진 합정전략정비구역 개발이 표류하고 있다. 직접적인 원인은 서울시의 개발계획이 변경된 데 있다. 쟁점은 성산중학교를 중심으로 한 전략정비구역 내 중앙부 20만5,212㎡의 개발 여부다. 시는 지난 2009년 1월 구역 전체 50만3,239㎡ 중 당인리발전소를 제외한 36만8,624㎡를 고밀도 개발하는 청사진을 제시했었다. 그러나 2년 후인 올 1월에는 이중 성산중학교를 중심으로 한 중앙부 20만5,212㎡를 개발대상에서 배제하는 수정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이 지역 주민들과 투자자들은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고층아파트 개발 기대감에 2009년 33㎡ 안팎 지분을 기준으로 3.3㎡당 한때 4,000만원까지 치솟았던 거래는 종적을 감춘 지 오래다. H공인의 한 관계자는 "성산중학교 인근 연립ㆍ다세대주택 거래는 전무하다"고 말했다. ◇개발 예정지도 거래 단절=개발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된 합정역 인근 '합정특별계획구역'과 상수역 주변 '상수특별계획구역'에 대한 사업성도 불투명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시는 올 1월 합정특별계획구역 2만9,669㎡를 제2종일반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용도변경했다. 주상복합용도의 고층건물을 짓겠다는 복안이다. 합정특별계획구역 둑막길 변의 경우 최고 높이 120m, 최대 용적률 630%가 허용되지만 나머지 지역은 60m 이하의 높이에 상업시설을 제외하면 용적률이 400% 이하에 그친다. 상수특별계획구역도 사정은 비슷하다. 최고 30층, 평균 20층으로 지어지지만 최대 용적률이 190~210%에 불과하다. 특히 근린생활시설은 50m 이하로 지어지고 합정동 일대 저층공동주택지역은 층고가 7층 이하로 묶였다. 이 지역 역시 급매물을 중심으로 간간이 거래되는 수준이다. 한때 3.3㎡당 6,500만원까지 올랐던 합정특별계획구역 지분은 최근 5,300만~5,500만원선까지 떨어졌지만 매수세가 없다. 3,3㎡당 5,000만원까지 치솟았던 상수특별계획구역 지분도 4,000만원 수준에 겨우 거래가 체결되는 정도다. C공인의 한 관계자는 "상수특별계획구역에서는 최근 3,300만원에 거래됐다는 이야기도 들었다"고 전했다. 시가 구역 내 당인리발전소 이전, 강변북로 지하화 계획을 철회한 것도 주민들의 반발을 키운 이유다. 일단 시는 2월 주민설명회 때 공개한 '제1종지구단위계획(안)'의 골격을 유지한 확정안을 만들어 공람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주민들의 반대를 이유로 개발안을 바꿀 수는 없다"며 "구청과 협의를 거쳐 조만간 공람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봉수 당인리발전소 이전촉구 위원장은 "시의 개발안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지켜보고 있지만 원래 약속대로 합정 전략정비구역 개발이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