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은총재 "디노미네이션 거론 시기 아니다"

민노당 국회 입성 긍정적...2.4분기 소비 감소 멈춰

박승 총재는 6일 화폐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이른바 `디노미네이션'을 거론할 시기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박 총재는 또 민주노동당의 국회 입성은 합리적 노사 관계에 기여할 것이라며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박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한 뒤 가진 오찬 기자간담회에서 디노미네이션 추진과 관련, "준비가 덜 됐고 경기가 회복되지 않았으며 국정이 아직 안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거론할 시기는 아니다"고 못박고 "이 문제는 중장기 과제로 다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총재는 "디노미네이션은 내년 이후에 언제든지 거론할 수 있는 문제"라고 말하고 "디노미네이션은 실행을 결정한 이후에도 도안, 기계 도입, 위조 방지 등을 준비하는 데에만 4년이 걸리며 현재는 결정을 내리기 위한 준비도 안돼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는 "고액권 발행이 필요하다고 보지만 디노미네이션 등 다른 사안과 맞물리다보니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 총재는 민노당의 국회 진출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합리적 노사 관계로 이행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하고 "이번 총선에서 드러났듯이 유권자의 10% 이상이 민노당을 지지하고 있는 만큼 이들의 생각이 국회에 반영될 수 있는 통로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내수 회복 시기에 대해 " 2.4분기부터 체감경기 개선이 이뤄질 것"이라고말하고 "작년 2.4분기부터 올 1.4분기까지 소비가 마이너스였지만 2.4분기에는 감소세가 멈출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 "경기 회복이 본격적인 회복 단계에 들어서고 물가 위험이 가시화될 때금리 인상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 쇼크와 관련해 "단기적으로 악재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호재"라고 규정하고 "중국의 긴축정책은 고도성장을 붕괴하는 게 아니라 장기적으로 지속한다는의미"라고 풀이했다. 박 총재는 "중국의 긴축정책이 한국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지적하고 따라서 "한국의 거시정책을 변경할 이유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윤근영.노효동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