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사교육 없는 학교 사교육비 16% 줄였다

'사교육 없는 학교' 457곳

사교육비 절감을 목표로 정부가 지난해 처음 시작한 '사교육 없는 학교' 지원 사업 결과 지난 1년간 학생 1인당 사교육비가 1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해 선정한 '사교육 없는 학교' 457(초등 160, 중 142, 고 155)개교, 학부모 36만3,000여명을 대상으로 1년간 성과를 조사, 분석한 결과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6%, 사교육 참여율은 14.7%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15일 밝혔다. 사교육 없는 학교 지원 사업은 지난해 7월 방과후학교 활성화 등을 통해 학부모의 사교육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됐다.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지난해 6월 26만8,000원에서 올 6월 22만5,000원으로 16% 줄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17%(22만원), 중학교가 16.3%(23만6,000원), 고등학교가 14.6%(22만2,000원) 감소했다.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율은 지난해 6월 82%였으나 올 6월에는 67.3%로 14.7%포인트 낮아졌다. 서울 등 7개 시 지역은 월평균 사교육비가 사업 전 30만2,000원에서 사업 후 26만1,000원으로 평균 13.6% 줄어들었다. 광주(25.8%), 부산(24.2%)이 가장 많이 줄었다. 경기 등 9개 도 지역은 사업 전 23만7,000원에서 사업 후 19만4,000원으로 18.1% 감소했다. 전남(31.2%), 충남(28.7%), 충북(24.7%), 경북(22.1%), 제주(20.9%) 지역이 20% 이상 감소했다. 서울은 7.1%의 경감률을 보여 16개 시도 중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교과부는 이번에 조사한 457개 학교 가운데 성과가 가장 우수한 충북 남이초, 서울 노량진ㆍ반원초 13개 학교를 선정해 운영 모델을 다른 학교로 확산시키기로 했다. 반면 성과가 미흡한 일부 학교(33개교)에 대해서는 예산 지원을 중단하는 한편 180개 학교를 신규로 지정해 사교육 없는 학교를 총 600개교로 늘리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