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재정 어려운 지자체들 "지역축제 축소·폐지"

소비성 축제 줄여 주민 복지등 사용

부동산경기 침체 등 세수 확보가 줄어들면서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국 대부분 지자체들이 각종 지역축제를 축소하거나 폐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전국지방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수원시는 매년 팔달구청에서 개최하는 4,000만~5,000만원 규모의 '성안축제'를 올해는 대폭 축소하기로 했다.


또 매년 가을 39개 동사무소에서 열던 '마을음악회'(1,000여 만원)의 개최 여부를 동사무소마다 자율적으로 결정하라고 통보했다

시 관계자는 "지자체의 재정문제가 눈총을 받는 사회적 분위기 등을 고려해 소비성 축제는 줄이고 대신 남은 예산으로 주민에게 필요한 사업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산시는 9억여원 규모의 '생태환경축제'를 올해 폐지하기로 했으며, 광명시는 지난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개최한 '광명음악축제'(4억5,000여만원)의 폐지를 검토 중이다.

관련기사



안양시는 오는 10월 열리는 '안양시민축제'의 전야제와 공연행사를 없애고 이달 열릴 예정이던 '관악페스티벌'도 취소하기로 했다. 시는 안양시민축제 축소로 절약되는 예산 1억4,000만원을 일자리 창출 사업에 사용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 5월에도 매해 열리던 '안양천 A+페스티벌'을 개최하지 않았다.

인천시는 종전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 인천해양축제, 인천오페라 페스티벌, 인천중국의 날 문화축제, 월미 국제음악제, 삼랑성 축제, 클라운 마임축제, 마니산 기축제 등 모두 8개 축제를 하나로 통폐합해 지난달 23부터 오는 29일까지'인천 펜타포트 축제'로 변경해 치를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축제 통폐합과 관련, "관 주도형 축제 추진으로 전문성이 떨어지고 담당공무원들의 순환보직으로 인해 축제 업무연계 및 개선에 한계가 있고 대부분의 축제가 5월과 9~10월에 집중돼 있는 등 차별성이 없어 통폐합 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종전 23억9,000만원이 소요되던 예산도 21억원으로 줄어들게 됐다.

부산 남구청의 경우 12년간 개최해 온 '오륙도 축제'를 지난해 취소한 이후 올해도 계획조차 잡지 않았다. 부산시도 이미 지난해에 68개의 지역축제를 47개로 축소했다.

울산도 지역 축제를 '선택과 집중'을 통해 구조조정 할 계획이다. 울산시는 낭비를 줄이기 위해 지역 대표 축제인 물축제와 고래축제를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울산 북구청의 경우 강동해변 물놀이축제에서 관행처럼 열린 인기가수 초청공연을 없애고 주민참여행사로 대체해 해당 축제 예산을 70% 줄였다.

이밖에 대전 동구가 지난해 처음 열린 '대전역 0시 축제'를 전면 폐지하기로 했고 '나라꽃 국화전' 규모를 `대폭 축소해 개최하기로 했다. 경북 상주시에서 매년 10월에 열리는 동화나라이야기축제가 취소될 것으로 알려지는 등 전국 지자체들의 지역축제가 대거 축소 또는 폐지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