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오일 펀드, 고유가 타고 수익 '짭짤'

지난해말 이후 출시된 유가 연계 펀드에 투자했던 투자자들이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올들어 상당수 주식형 펀드들이 원금 손실을 보고 있으나 원유를 투자종목으로 편입한 펀드들은 최근 고유가 여파로 목표 수익률을 무난히 달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은행권에 따르면 HSBC은행이 지난해 12월 은행권 최초로 내놓은 원유펀드 `파워오일인덱스' 펀드는 지난달 21일 운용 6개월만에 수익률이 목표치인 연 12%를 달성해 판매액 450억원 전액을 조기 상환했다. 올초에 판매한 2차 펀드도 지난 11일 340억원을 전액 조기 상환됐다. 이 펀드는 미국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가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에 따라 작성하는 유가지수인 `GSCI WTI ER 지수'에 연계된 상품으로, 6개월마다 지수 비교를 통해 비교시점의 지수가 최초 기준가격과 같거나 그보다 높을 경우 연 12.0%의 수익을지급하고 자동 청산된다. 3년간 총 6차례의 조기상환 기회가 부여돼 있으나 2차례 판매분 모두 첫 비교 시점에 목표를 달성해 조기 상환됐다. 우리은행이 지난 3월22일 출시한 `코모더티 인덱스플러스 펀드'도 4개월간 누적수익률 9.8%를 자랑하고 있다. 1억원을 투자해 4개월만에 980만원의 이익을 올릴 수 있다는 의미로 연 수익률로는 29.4%에 달한다. 원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에 3분의 1 이상 투자하는 이 펀드는 언제든 자금을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개방형이며, 14일 현재 541억원의 잔고를 보유하고 있다. HSBC 정용훈 이사는 "`모두가 어려운 시기에도 돈버는 사람은 따로 있다'는 격언처럼 유가 상승세와 세계적 주가 급락세 속에서도 시장 흐름을 응용해 수익을 올리는 틈새 상품은 반드시 존재한다"며 "고유가에 따른 손실이 예상될 경우 기업들은이를 만회할 수 있는 자산운용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에너지 펀드 투자를 위해서는 적절한 상품 선정과 함께 시기조율이 필수라고 지적했다. 에너지와 관련이 있더라도 유가에 직접 연계되지 않을 경우 유가상승 위험을 회피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에너지 개발과 생산 등에 연관된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 메릴린치 월드 에너지펀드는 지난 12일 기준으로 3개월간 -0.9%의 수익률을 기록, 원금을 밑돌고 있는 상태다. 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최근 세계 증시 급락세 영향을 더 크게 받은 데 따른 것이다. 유가가 중동지역의 긴장감 완화로 단기간에 조정을 받을 수 있는 점도 신중한 투자를 요구하고 있다. 우리은행 한창식 과장은 "에너지펀드에 대한 수요가 최근에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유가가 크게 오른 시점이라 투자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며 "중국과 인도등의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한 장기적으로 에너지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추가 편입에 적합한 조정기를 기다리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