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방공단 인력난 가중

외국인 근로자 단속에 잠적 잇달아 일부 생산중단도인력난을 겪고 있는 지방 공단 입주 업체들이 외국인 근로자마저 자취를 감추고 있어 심각한 일손부족을 겪고 있다. 이는 내년 초 불법 체류 외국인 근로자 출국을 앞두고 당국에서 대대적인 단속을 펼쳐 이들이 산업현장에서 이탈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기업체 들은 이에 따라 대기업 중심의 인력정책에서 벗어나고 무작정 외국인 불법체류자 들을 단속하기 보다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산업현장 인력난 부채질 대구의 특수주물 제조업체인 K사(대구시 동구)는 최근 11명의 외국인 근로자 가운데 5명이 달아나는 바람에 생산라인 일부를 가동 중단하고 있다. 이 회사 Y사장은 "5명의 근로자들은 내년 초 출국을 앞두고 정부의 단속이 시작되자 아예 건설현장 등으로 숨어버렸다"며 "나머지 외국인들도 언제 달아날지 걱정이 태산이지만 아무런 대책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섬유ㆍ자동차부품업종이 집중돼 있는 대구 성서공단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다. 2,000여개 입주업체 상당수가 외국인 불법체류자를 고용하고 있는 성서공단의 경우 최근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외국인 불법체류자 대한 단속을 실시하자 1,000여명의 산업연수생을 제외한 상당수 외국인 근로자들이 자취를 감췄다. 인천 남동공단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 공단의 도금업체인 J사의 경우 50대 사장이 일손부족으로 현장에서 직접 땀을 흘리고 있다. 이 회사는 올초까지 7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있었으나 정부가 내년 3월 출국을 조건으로 비자를 연기해 주자 월급을 더 준다는 업체로 떠나 버렸기 때문이다. 울산의 자동차부품업체 인 D사는 전체 직원 20여명 중 10여명이 불법 체류자인데 이달 들어 불법 체류자에 대한 법무부의 단속이 강화되자 자진 신고자 5명을 제외한 5명이 최근 달아났다. 이 회사는 10여일 간 일부 생산라인의 가동을 중단했으며 불법 체류자보다 임금을 40%이상 인상해 직원 모집에 나섰으나 보름여가 지나도록 결원 2명을 구하지 못해 동료 직원들이 휴일 특근과 연장근무에 나서고 있다. 불법체류 외국인근로자가 12만 명으로 추산되는 경기도의 사정도 심각하다. 불법 외국인근로자를 중심으로 공장을 꾸려온 동두천 염색단지를 비롯해 안산공단, 군포, 안양, 고양 등지의 소규모 업체들은 당장 공장가동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다.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중소기업들은 이 같은 인력대란의 근본원인을 중소기업을 염두에 두지않는 대기업 위주의 정책이 빚은 결과라고 지적하고 있다. 불법체류 외국인 근로자들을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예외를 인정하거나 단계적 출국, 산업연수생 추가 확보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여론이다. 이와 함께 '연수 1년, 취업2년'으로 규정된 현행 제도의 개선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외국인 연수생들이 산업현장에 익숙해지면 출국해야 하기 때문에 일부 업체서는 의도적으로 불법체류를 조장하고 있다며 연수기간을 최소한 5년 이상은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지방종합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