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韓·中·日 바둑 영웅전] 정조준까지 했어야했다

제6보(85∼100)



흑25가 좌변의 흑을 살리는 침착한 수순이었다. 이 수를 예측한 독자가 과연 몇 명이나 될까. 정답을 한눈에 알아맞혔다면 아마추어 6단은 너끈히 될 감각이다. 흑85는 단순히 넘어가자는 착점이 아니다. 백이 이 방면에 손을 쓰지 않으면 참고도1의 흑1로 붙이겠다는 구상이다. 백2면 흑3 이하 7로 백이 잡히는 것이다. 백86은 그 수에 대한 방어책이다. 백88을 보고 윤현석9단이 또 웃었다. "이런 한가한 수밖에 둘 곳이 없다니. 참 애매하고 몽롱한 일이로군요."(윤현석) 백86은 중원의 발언권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또한 산재해 있는 백의 돌들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흑89는 백88에 대한 대응. 이 수를 게을리하면 중원에 상당히 큰 백의 집이 생길 것이다. 백90으로 건너붙인 수를 보고 윤현석9단이 또 웃었다. "이건 적의 미생마가 공중에 떴을 때 그것을 공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수법인데요. 지금은 억지로 끊어 보았자 백의 후속수단이 신통치가 않아요. 맨땅에 헤딩을 한 셈입니다."(윤현석) 내친걸음이므로 고근태는 일단 백98로 끊었다. 상변의 흑대마는 살았느냐고 은근히 위협을 한 수순인데 강동윤은 본척도 않고 흑99로 실리를 챙겼다. 머쓱해진 고근태는 백100으로 손을 돌렸는데 이 수가 완착이었다. 기왕 백98로 끊었을 바에는 참고도2의 백1로 뻗어 상변쪽 흑대마를 정조준하는 것이 당당한 길이었다. 고근태는 흑2로 붙이는 수단이 약간 겁났다고 하는데 그것은 백3,5로 받아서 아무 사고도 나지 않는 자리였던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