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美IHT “불평등사회 ‘분노’가 안철수 띄웠다”


이른바 ‘안철수 열풍’은 사회ㆍ경제적 불평등과 정부의 기득권 옹호 경향에 대한 분노가 커진 한국에서 그가 강조한 ‘참여’, ‘원칙’, ‘상식’ 등이 젊은 층의 공감을 얻은 결과라고 미국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이 분석했다. IHT는 ‘안철수 현상’을 분석한 15일자 기사에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 원장의 공개 지지가 지난달 박원순 서울시장의 당선에 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이같이 소개했다. 신문은 안 원장이 시장선거 후 정치 전면에 나서지 않고 있음에도 가장 인기 있는 ‘정치 스타’ 자리를 지키고 있다면서 그가 기성 정당들에 대한 환멸을 상징하는 인물이 됐다고 평가했다. 또 안철수 현상은 “왜 많은 한국인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정ㆍ재계 엘리트들이 내세운 이니셔티브를 불신하는지, 왜 이명박 대통령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존경을 받으면서도 자국민들에게는 다가갈 수 없는 인물로 여겨지는지”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준다고 IHT는 분석했다. 이와 함께 신문은 안 원장이 지난 2005년 안철수연구소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면서 수십억원 상당의 지분을 직원들에게 돌려준 사실과 최근 지분 1,500억원 상당을 사회환원키로 한 결정을 소개하면서 불법으로 자녀들에게 부를 승계하는 재계 엘리트들과 대조적인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IHT는 또 안 원장의 가치관이 한국의 ‘개발시대’를 상징하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엘리트주의’와 대척점에 있다고 소개하면서 이 회장이 ‘혼자 1만명을 먹여 살릴 수 있는 인재’를 강조한 데 대해 안 원장이 ‘1만명을 먹여 살리면서 다른 이로부터 그 이상을 빼간다면 사회에 도움되지 않는다’고 응수한 언론 인터뷰 내용을 전했다. 아울러 신문은 안 원장이 정계에 정식으로 뛰어들 경우 지금 누리는 신비감과 아우라가 증발할 것이라는 ‘안철수 거품론’도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또 그의 대선 도전 가능성과 관련, “강둑에 앉아 지켜보는 것으로는 강물의 빠르기를 알 수 없다. 신과 양말을 벗고 뛰어들어야 한다”는 안 원장의 강의 중 발언을 소개했다. /온라인뉴스부 (사진 :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 홈페이지 캡처)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