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8·31후 청약저축 가입자 급증

공공아파트 물량확대 기대…지난달, 전월비 4.6% 늘어

8.31 부동산 종합대책으로 공공아파트 공급물량이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져 청약저축 가입자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현재 청약통장 가입자는 719만4,253명으로 8월 말에 비해 1% 증가했는데, 이중 청약저축 가입자는 212만8,370명으로 4.6% 나 늘어났다. 반면 청약예금 가입자(279만8,494명) 증가율은 1.1%에 그쳤고, 청약부금(226만7,389명)은 2.1%가 줄어 대조를 보였다. 청약저축 계좌가 이처럼 증가한 것은 정부가 8ㆍ31 대책에서 공영개발 범위를 확대, 공공택지 내에서 주택공사나 지방자치단체가 공급하는 주택물량을 크게 늘리겠다고 밝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청약저축에 가입하는 무주택 세대주는 정부의 국민주택기금 지원을 받아 건설되는 전용면적 25.7평 이하의 공공주택에 입주하거나 임대 받을 수 있다. 공공주택은 그 동안 민영주택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데 비해 공급이 부족해 청약기회가 적었지만 앞으로 공영개발이 활성화되면 저렴하게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청약저축의 순위별 분포를 보면 저축가입 2년 이상ㆍ월 납입금 24회 이상 납입자에게 주어지는 1순위자가 64만5,998명(30%), 가입 6개월 이상ㆍ월 납입금 6회 이상의 2순위자가 85만5,530명(40.2%), 3순위자가 62만6,842명(29%)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과 수도권 청약예금의 가입자가 98만1,954명(전체의 35%), 208만6,923명(75%)이고 청약저축 가입자는 65만4,898명(30.7%), 131만4,958명(61%)이었다. 5대 광역시 권의 청약예금 및 청약저축 가입자는 전체의 15%, 17%인데 반해 나머지 8개 도의 가입자는 10.4%, 20%로 대도시권 거주자일수록 청약예금을, 지방은 청약저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약통장에 묻힌 돈은 모두 24조5,275억4,900만원(1인 당 평균 가입액 341만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2% 증가했다. 이중 청약예금 가입액이 14조5,078억1,600만원(1인 당 518만원)으로 가장 많고, 청약저축 7조1,942억5,300만원(338만원), 청약부금 6조4,887억2,000만원(286만원) 순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