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공무원 특채' 파문 지자체로 확산

시의원·고위직 친인척등 계약직·산하기관 채용서 '불공정 시비'


유명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 딸 특별채용 파문이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광역 및 지역 기초단체에서도 채용을 둘러싼 불공정 시비가 줄줄이 터져 나오고 있다. 특히 지자체 계약직의 경우 채용과정이 엄격하지 않은데다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면 정년이 보장되기 때문에 지자체 조직 내부에서도 불공정 특채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8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서울 자치구 산하 공기업인 성동구 도시관리공단에서도 특혜성 채용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2006년 6월 말 이호조 당시 구청장의 조카사위인 이모씨가 구청장과의 관계가 알려지지 않은 채 공단에 실무 계약직으로 특채됐다. 공단에는 이씨의 아내 등 이 전 구청장의 친인척 두 명이 더 근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씨는 2008년 무기계약직(6급)으로 전환됐고 실무직 상태에서 직위공모를 통해 관리자인 팀장에 올라 일부에서 '이례적인 승진'이란 평을 듣고 있다. 공단의 한 관계자는 이씨의 채용ㆍ승진 논란에 대해 "원래 계약직은 채용공고 등 절차가 짧다. '파트 리더'로서 현장 능력을 인정받으면 관리직도 맡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내 일부 시ㆍ군 산하기관에서도 전·현직 고위공무원 및 지방의원·기관 단체장들의 친인척들이 많이 근무하고 있어 인사 과정에서의 특혜 의혹이 일고 있다. 성남시의 경우 산하 기관인 성남문화재단에는 현 시의원의 아들인 L씨와 며느리인 J씨가 근무하고 있고 성남산업진흥재단에도 현 성남시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의 딸 S씨가 근무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성남시시설관리공단에는 전 시장의 선거캠프 관계자의 아들이, 성남시청소년육성재단에는 전 시장 비서 출신 인사의 아들이 각각 근무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가 100% 출자한 지방공기업인 광주지방공사에서도 전 시의원들의 자녀(5명)들과 전 시장의 사위 등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남도시개발공사와 하남문화예술회관에도 전 시장과 현 도개공 사장, 비상임 이사들의 친인척들이 입사해 이들 기관이 고위직 친인척들의 취업 장소로 전락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하남도시개발공사에는 전 시장의 조카 K씨, 전 시청 국장 딸 K씨, 현 도개공 이사의 아들 N씨 등이 근무 중이며 현 도개공 사장의 아들은 문화예술회관에서 공연 관련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정부시시설관리공단의 경우에도 전 시장의 운전기사였던 L씨, 전 이사장의 처남 Y씨 등이 근무하고 있다. 부산 사하구청은 지난 6월 다대포 음악분수대 운영 프로그래머로 계약직 공무원 A(29ㆍ여)씨를 공개채용했다. 사하구청 모 국장의 딸인 A씨는 지난해 말에도 똑같은 직군 채용공모에 지원해 합격했다가 구청 간부의 딸이라는 사실이 알려져 채용계약포기서를 제출한 바 있다. 사하구청의 한 직원은 "지난해에도 간부의 딸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채용을 포기한 A씨가 똑같은 직군에 다시 지원한 것을 어떻게 봐야 하냐"며 고개를 저었다. 동구는 지난 7월 B씨를 일용직으로 채용해 정식 직제에 없던 '민원상담실장'으로 배치해 특채논란이 일었다. B씨는 동구에서 30년 동안 공무원으로 일하다가 4년 전 퇴직했고 지난 6ㆍ2지방선거 당시 박한재 동구청장 선거사무장으로 일했다. 동래구에서는 지난해 복지요원 채용에 구청 계장급, 과장급 자녀 두 명과 구의원 자녀 한 명이 합격돼 공정채용시비가 불거졌다. 사상구에서도 불공정 채용 논란을 빚은 주민생활지원과 계약직 의료관리급여요원 두 명을 지난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했다. 이들은 2007년 채용 당시 구청장이 지인의 청탁으로 채용했다는 의혹으로 노조 지부장이 구청장에게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해 파문이 일었다. 경북 경주에서도 최근 정무 비서직을 시장 측 외부인사인 건설업자로 뽑기로 해 불공정 채용 논란이 일었다. 경주시의 한 관계자는 "정무직은 조례에 따라 비서관 또는 비서는 직위에 상응하는 자격과 관계없이 임용할 수 있어 별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울산에서도 지난해 울주군과 관련해 정치권 인사의 비서관을 지낸 경력자와 고위공무원 자녀가 국립대학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직원으로 채용돼 인사 논란에 휩싸였다. 울산과기대의 한 교직원은 "낙하산 인사 의혹과 함께 엇비슷한 경력임에도 직급에서 차이가 나는 등 인사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