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경상흑자 '깜짝 실적'

지난달 49억弗…사상최대<br>유가 하락·해외여행 감소로

지난 10월 경상수지가 사상 최대의 흑자를 기록했다. 당초 예상을 뛰어넘은 ‘어닝 서프라이즈’는 유가하락으로 상품수지가 큰 폭의 흑자로 돌아섰고 환율상승의 영향으로 해외여행이 감소하는 등 서비스수지 적자규모가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국제유가 안정이 지속될 경우 내년도 경상수지 역시 흑자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10월 중 국제수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경상수지는 49억1,000만달러 흑자를 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80년 이후 월간 기준 최대 흑자로 당초 예상치(15억달러)의 세 배에 달한다. 이에 따라 올 10월까지 경상수지 누적 적자는 90억1,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상품수지는 글로벌 경기둔화 여파로 수출입 증가세가 모두 둔화했지만 유가 등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수입이 크게 줄면서 전달의 8억9,000만달러 적자에서 27억9,000만달러 흑자로 전환됐다. 서비스수지는 7년6개월 만에 흑자 전환된 여행수지에 힘입어 적자규모가 전달 12억4,000만달러에서 5,000만달러로 크게 줄었다. 소득수지는 외화채권 매도에 따른 이자수입이 늘면서 흑자 규모가 7억9,000만달러에서 14억1,000만달러로 확대됐고 경상이전 수지도 환율상승으로 교포들의 국내 송금이 늘면서 2,000만달러 적자에서 7억7,000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그러나 경상수지 항목과 달리 자본수지에서는 달러가 대거 빠져나갔다. 국내 금융기관들이 해외 차입금을 대규모 상환하면서 자본수지 순유출 규모가 전달의 47억8,000만 달러에서 255억3,000만달러로 확대돼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양재룡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11월에는 수출이 감소하는 만큼 흑자규모가 축소될 것”이라면서 “흑자액은 10억달러 또는 그 이상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