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미혼남녀들이 원하는 배우자감 나이차는?

男 '최소 3세 연하'-女 '최고 5세 연상'

미혼남녀들이 생각하는 배우자감과 이상적인 나이차는 어느정도 일까. 연령대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남성은 초혼의 경우 최소 3세, 재혼은 4세 정도 아래를 희망했으며, 여성 초혼은 최고 5세, 재혼은 10세 정도 많아도 수용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9일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대표 손동규)와 재혼전문 온리-유에 따르면 최근 전국의 초·재혼 대상 남녀 1,161명(남성 630명·여성 531명, 초혼 676명·재혼 485명)을 상대로 '희망 배우자 조건 중 수용 가능 나이 범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대의 경우 남성은 초혼일때 동갑(32.4%)이나 연상(29.4%)을 원하는 응답비율이 높았고, 재혼은 동갑(44.4%)까지 수용 가능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20대 여성의 경우는 초혼일때 최대 6세(16.7%)와 8세(15.5%), 재혼은 8세(23.8%)와 10세(19.0%) 연상까지 고려 가능하다고 답했다. 30대의 경우는 초반과 후반 사이에 큰 차이가 드러났다. 우선 30∼34세까지의 남성은 2세(30.1%)나 1세(24.3%)만 연하라도 수용하고, 재혼은 연상(30.8%)과 1세(26.9%) 아래까지 배우자감으로 선호한 반면, 여성은 초혼의 경우 최대 5세(28.4%)와 4세(21.0%)였고, 재혼은 7세(29.7%)와 6세(18.9%) 연상까지 배우자감으로 원했다. 35∼39세까지의 남성 초혼은 최소 3세(28.6%)나 4세(18.4%)를, 재혼은 4세(29.4%)와 3세(25.5%) 정도 적은 나이의 배우자감을 희망한 반면, 여성은 초혼이 4세(22.4%)와 8세(17.1%), 재혼은 8세(23.3%)와 5세(18.3%) 연상까지로 응답했다. 40대 이상의 남녀들은 비슷한 선호도를 나타냈다. 40대 초혼 남성은 배우자가 최소 5세(22.5%), 3세(18.4%) 정도 아래를 기대했고, 재혼은 4세(24.6%)나 6세(18.0%) 차이를 원했다. 여성은 초혼(23.8%), 재혼(19.5%) 모두 5세 차이까지 허용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초혼은 7세(19.0%), 재혼은 10세(17.1%)가 뒤를 이었다. 50대는 남성 초혼의 경우 최소 나이 차이가 6세(30.0%), 재혼은 5세(17.7%)까지로 벌어진다. 여성 역시 초혼은 10세(31.2세)와 6세(25.0%), 재혼은 8세(24.1%)와 10세(20.7%)까지 제한 선을 넓혔다. 60대 이상에서는 남성의 경우 재혼 위주로 최소 6세(20.0%)와 11∼15세(16.4%)의 나이 차이를 원했다. 손동규 비에나래 대표는 "남성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나이 차이가 큰 배우자를 원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이에 반해 여성은 조금이라도 더 조건이 좋은 남성을 만나기 위해 상대방 나이에 크게 연연하지 않는 편으로, 나이, 결혼경험 유무 등 자신들의 결혼시장에서의 상황을 고려해 배우자의 나이차 허용범위를 신축성있게 증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