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세월호 대참사] 소아정신의학회 '어린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지침'

“모호하게 넘기지 말고 자세히 설명”…생생한 사고 영상 시청 등은 제한해야

“엄마, 무슨 일이야?”

세월호 관련 보도를 함께 시청하던 어린 자녀가 “무슨 일이냐”며 사고에 대해 묻는다면, 부모는 뭐라고 답하는게 바람직할까.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는 23일 ‘세월호 침몰사건 관련 부모를 위한 지침’을 통해 이런 경우 말하기를 꺼리거나 대충 얼버무리기 보다는 알기 쉽고 비교적 자세하게 설명해주는 편이 아이들의 정신 건강 측면에서 더 이롭다고 조언했다.


지침에 따르면 그냥 “몰라도 돼”, “안 좋은 일이 있어” 등의 모호한 말로 그 순간을 넘긴다해도 아이들은 직감적으로 부모의 설명과 뉴스를 통해 접하는 상황이 다르다는 것을 깨닫고 결과적으로 더 의문을 갖게 된다.

관련기사



그 결과 아이 스스로 정보를 찾다가 부정확하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접할 가능성이 커질 뿐 아니라, ‘부모가 나를 어리고 나약한 존재로 여기는구나’, ‘부모도 감당하기 어려워 말하기를 꺼리는만큼, 부모를 믿고 의지하기 어렵겠다’는 그릇된 인식에 이를 수도 있다.

또 이번 사건으로 부모 자신이 감정·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 아이에게 이를 솔직히 드러내고 공유하며 이겨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도 자녀에게 바람직한 ‘모델’이 될 수 있다는게 학회의 설명이다.

다만 자녀가 TV·신문·인터넷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지나치게 생생한 사고 영상·사진·글·음성 등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만큼, 부모가 계속 감독하며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학회는 조언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