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대기업·中企 상생을 위한 제언

김종배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산업기술혁신팀장>

최근 우리 경제가 조기에 활력을 회복하고 과거의 성장세를 다시 찾기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으며 그 협력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일부 대기업에서는 협력업체의 자금순환에 문제가 없도록 구매대금을 전액 현금으로 결제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대기업의 일방적인 납품단가 인하요구 등 불공정거래를 경험하고 있다. 여기에 환율하락과 원자재가 인상까지 겹쳐 채산성 악화로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은 모기업과의 납품거래 의존도가 높아 모기업의 일방적 지시나 요구에 응하지 않을 수 없는 수직적ㆍ종속적 거래관계에 놓여 있다. 따라서 모기업의 일방적인 납품단가 인하요구에 어쩔 수 없이 응하고 있다. 또 불공정거래를 경험한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거래 단절이 두려워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소기업의 평균임금은 대기업의 60% 수준에 불과하나 일부 대기업들은 자사의 임금인상분을 납품단가 인하를 통해 중소기업에 전가하고 있다. 이처럼 하도급거래상의 불공정거래 행위로 인해 중소기업들은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고, 채산성 악화는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등 경쟁력 제고를 위한 투자를 어렵게 함으로써 결국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대기업도 글로벌 경쟁시대에 살아남기 위해 가격인하 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겠으나 국내 중소기업들에 대한 납품단가 인하는 부품의 안정적 수급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성과가 있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대기업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중소기업의 경쟁력은 결국 대기업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것이므로 중소기업을 상생의 동반자로 보는 대기업의 인식전환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최대한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않을 때 우리 경제가 다시 활력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지난해 말 투명경영ㆍ윤리경영의 자율적 실천과 적정한 납품단가 결정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경제단체장들의 다짐이 잘 이행되기를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