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산업] 주성엔지니어링은 피해업체 '빙산의 일각'

업계에서는 지난 21일 주성엔지니어링의 개발담당 임원이 첨단 기술 유출기도 혐의로 기소된 것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인 ITㆍ조선ㆍ이동전화 기술은 경쟁국들이 노리는 기 술의 보고(寶庫)인데다, 기술 유출이 발생하고도 신고되지 않고 묻혀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국정원이 지난 98년 이후 지난달까지 적발한 산업스파이 사례는 모두 41건 . 하지만 업계에서는 기술을 도둑맞은 업체가 이 같은 사실이 노출되는 것 을 꺼리는 경우가 많아 실제 발생한 사건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에 주성엔지니어링의 전 임직원 서씨와 장씨가 미국 경쟁업체로 빼돌리려고 했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수입에 의존했던 반 도체 및 LCD패널 제조용 장비의 핵심 기술로 이 회사가 약 1,141억원의 연 구개발비를 투자, 최근 국산화에 성공했다. 이 회사는 이 장비를 삼성ㆍLGㆍ하이닉스 등에 납품, 약 2,000억원 이상의 수입 대체효과를 얻었고, 대만ㆍ중국 등과 수출 상담을 벌이던 중 기술유출 기도를 적발했다. 한편 검찰은 서씨가 90년에서 98년까지 비슷한 제품을 생산하던 미국 AMAT사의 한국지사에 근무해오다 99년 주성엔지니어링에 입사, 연구개발부서의 부장ㆍ상무 등을 거치며 얻은 관련 기술을 내세워 AMAT사에 입사교섭을 벌인 것으로 보고있다. 이와 관련 업계의 관계자는 “경쟁국의 산업 스파이 활동이 날이 갈수록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하지만 이 같은 현실에도 국내 업체들의 기술 보 안에 대한 의식이 희박한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이를 입증이라도 하듯 최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394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보안관련 부서를 운용하고 있는 업체는 13%에 불 과한 실정이다. 정부차원의 대책도 미흡하긴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활동을 지원하는 재경부나 산자부에는 산업기밀 유출 방지를 위한 관련 부서는 전무 하며, 국정원만 산업기밀 보호센터를 운영하고 있을 뿐이다. 이와 관련 업계의 관계자는 “외국의 경우 경찰ㆍ사법기관ㆍ 행정부처 등이 연계, 산업스파이를 감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며“늦은 감이있지만 우리나라도 관련 부처간 통합기구 신설 등을 통해 산업기밀 유출 예방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이상훈기자 atriple@sed.co.kr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