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FRB 금리인상 시사] 美 인플레 가시화 조심스런 대비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올해 첫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1%의 현행 금리를 유지했지만 발표문의 표현을 변경하면서 금리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FRB가 만일 당초 예상보다 앞서 금리인상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 경우 미 금융시장은 물론 세계 금융시장에도 연쇄 파급효과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FRB의 성명 발표 직후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하고 달러가 급반등한 것도 이 같은 점 때문이다. ◇금리인상 쪽으로 무게 중심 이동 해석=이날 FOMC의 발표문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대목은 지난해 8월 이래 세 차례 사용해 온 `상당 기간(considerable period)`이라는 어구가 빠지고 대신 `인내할 수 있다(can be patient)`라는 새로운 용어가 사용됐다는 점. “상당한 기간 동안 현행 저금리를 유지하겠다”던 분명하고 직설적인 표현이 “인내심을 가지고 금융환경 변화에 대처하겠다”는 불확실한 의미로 바뀐 것이다. FRB는 지난해 12월 FOMC에서 `상당 기간`이라는 표현을 유지했지만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사라졌다”는 문장을 삽입하면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사이에 정책 균형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FRB는 이번에도 인플레이션 걱정이 없다고 강조했지만 저금리 유지의 기한에 대한 표현을 제거함으로써 FRB의 정책 축이 인플레이션 쪽으로 한 클릭 더 움직였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FRB의 이날 발표문은 뉴욕 금융시장을 겨냥한 계산된 표현으로 해석되고 있다. 즉 경제 회복으로 인플레이션이 나타나면 금리를 올리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틀 것이므로 대비하라는 것이다. ◇시기는 올 여름과 대선 이후로 엇갈려=전문가들은 이번 표현이 금리인상을 위한 첫 걸음에 불과하고 차츰 한발씩 더 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월가의 페드 워쳐들은 앨런 그린스펀 FRB 의장이 오는 2월 의회 청문회에서 보다 가시적인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린스펀 의장 특유의 `구두 금융정책`을 통해 시장과 조율한 후에 여름쯤에 경기 회복과 인플레이션 여부를 봐가며 구체적으로 행동에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린스펀 의장이 이끄는 FRB가 전통적으로 공화당의 보수 성향에 맥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오는 11월 대선 때까지는 구체적 실행에 나서지 않고 `인내심을 가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뉴욕타임스는 FRB가 공화당 정권 때 금리를 내리고 민주당 정권 때 금리를 올렸다고 비난하는 민주당측 견해를 소개했다. ◇세계 금융시장에 연쇄 파급효과 가능성=FRB가 금리인상에 나설 경우 세계 금융시장은 대규모 유동성 흐름의 변동에 따른 연쇄 파급효과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캐나다는 이 달 들어 선진국으로는 처음 금리를 내렸고, 일본ㆍ유럽 등도 금융 완화정책으로 선회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는 미국이 현재의 금리 수준만 유지하더라도 금리 차이의 축소에 의해 국제 투자자금이 미국으로 U턴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금리인상까지 이뤄질 경우 미국의 초저금리 및 약 달러를 중심으로 지난 2년간 지속돼 온 세계 금융시장 패턴에 중대한 조정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뉴욕=김인영특파원, 정구영기자 inkim@sed.co.kr>

관련기사



정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