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구 성서공단등 도심형 산업벨트 '혁신클러스터' 지정 추진

市, 산자부 등에 적극 건의

국가공단이 없는 대구시가 성서지방산업단지를 축으로 한 ‘도심형 산업밸트’를 국가공단에 준하는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혁신클러스터’로 지정 받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대구시는 성서공단을 축으로 서대구ㆍ염색ㆍ3공단 등을 묶는 도심형 산업밸트(459만평)를 혁신클러스터로 지정해 줄 것을 산자부 등에 적극 건의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특히 성서단지에는 다수의 R&D센터가 있고, 최근 30여개 외국인 투자기업과 첨단기업이 속속 입주하고 있으며 인근 경북대ㆍ계명대 등에서 우수 인력 공급이 가능해 혁신클러스터의 적지로 판단하고 있다. 혁신클러스터로 지정될 경우 매년 40억원 이상의 국비가 투입되고, 산ㆍ학ㆍ연ㆍ관 네트워크가 구축돼 공단 구조고도화 등이 가속화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대구시 하재열 경제정책과장은 “R&D 기능 및 산ㆍ학ㆍ연ㆍ관 협력이 가능한 성서단지는 혁신클러스터 취지에 부합하는 최적지”라며 “ITㆍ디스플레이 등 첨단업종을 특화시키되 기존 주력업종은 구조를 고도화하는 방향으로 혁신클러스터 지정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산업자원부는 기존 생산중심의 국가산업단지를 R&D와 산ㆍ학ㆍ연ㆍ관이 융합된 혁신클러스터로 탈바꿈 시키기로 하고, 지난해 1월 구미(전자) 등 7개 시범단지를 혁신클러스터로 지정한데 이어 올 7월께 추가로 지정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산자부는 한국행정학회에 관련 용역을 의뢰, 현재 대구(성서공단)와 서울(구로공단) 등 4곳이 후보지역으로 거론되고 있다. 현재 혁신클러스터는 구미를 비롯, 창원(기계), 울산(자동차), 반월시화(부품소재), 원주(의료기기), 군산(자동차부품), 광주(광산업) 7곳이 지정돼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