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휴대폰 소액결제 피해 급증

미성년자에 '무료 가장' 통화권 판매 사이트 기승<br>인터넷기업協 8월께 중재센터 가동키로

유영호(42)씨는 지난 5월 사용한 휴대폰 요금이 평소보다 두 배나 많은 것을 알고 깜짝 놀랐다. 요금고지서를 꼼꼼히 살펴보니 ‘휴대폰 소액결제’ 명목으로 10만원의 요금이 청구돼 있었다. 이동통신사에 문의해본 결과 중학생인 아들이 게임을 하기 위해 몰래 휴대폰으로 결제한 사실을 알게 됐다.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5만~10만원 상당의 휴대폰 소액결제가 이뤄져 피해를 하소연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회원으로 가입하면 휴대폰 무료통화권을 나눠주는 것처럼 선전한 후 소액결제 방식을 통해 통화권을 팔아먹는 인터넷 사이트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그저 판촉 차원에서 무료통화권을 나눠주는 줄 알고 회원으로 가입했다가 고스란히 돈을 물어내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휴대폰소액결제피해자모임’ 인터넷 카페에는 하루 평균 수십여명의 피해자들이 피해를 하소연하며 환불을 요청하고 있다. 휴대폰 소액결제는 채팅ㆍ게임 등과 같은 콘텐츠를 결제할 때 주로 사용된다. 본인인증과 승인번호 발송 등으로 절차가 간편하기 때문에 시장 규모가 급성장하는 추세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휴대폰 소액결제시장 규모는 올해 7,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편리한 대신 부작용도 많다. 어린이들이 부모의 휴대폰으로 결제하더라도 이를 요금고지서를 받아보고 나서야 알 수 있다. 또 개인 정보가 쉽게 유출될 수 있어 복제폰을 이용한 범죄에 악용되기도 한다. 특히 소액결제를 주로 사용하는 인터넷 사이트는 ‘결제’라는 단어 대신 ‘승인’이라는 말을 사용해 소비자들의 혼동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편 한국인터넷기업협회는 최근 이동통신업체 및 콘텐츠 공급업체(CP) 등과 함께 휴대폰 결제 이용환경 개선협의체 회의를 열고 오는 8월 내로 중재센터를 가동하기로 했다. 인터넷기업협회의 한 관계자는 “중재센터가 운영되면 소액결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는 동시에 합리적인 피해 보상절차를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