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 사립대 19곳중 13곳 수입비중 등록금이 절반 넘어

재단전입금은 34~1.4% 불과

서울 주요 사립대학의 총 수입 중 등록금의 비중이 최고 8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단전입금(기부금 포함) 비중은 최하 1.4%에 불과할 정도로 미미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한국사학진흥재단과 교육인적자원부에 따르면 학생 수가 1만명 이상인 서울의 19개 사립대의 2005년 총수입(본예산 기준) 중 등록금 및 재단 전입금 비중을 분석한 결과 등록금 비중은 85%∼31%, 재단 전입금 비중은 34%∼1.4%로 집계됐다. 이에 따르면 등록금 비중이 절반이 넘는 학교가 13곳인데 비해 전입금 비중이 10%를 넘는 학교는 6곳에 그쳤고 5곳은 전입금 비중이 5%에도 못 미쳤다. 등록금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대로 908억원의 예산 중 등록금 수입은 85.0%인 772억여원이었고 다음이 홍익대(75.8%), 중앙대(69.6%), 동국대(69.1%), 한국외대(68.3%) 순이었다. 연세대는 6,430억원 예산 가운데 등록금이 2,478억여원(31.7%)으로 등록금 비중이 가장 낮았고 이화여대(41.0%), 성균관대(41.5%), 서강대(44.4%), 고려대(47.7%)순으로 뒤를 이었다. 재단 전입금 및 기부금 비중은 등록금보다 훨씬 낮았다. 연세대만 전입금 및 기부금이 2,718억원으로 수입 대비 비율이 34.7%로 유일하게 등록금 비중(31.7%)보다 높았고 나머지 학교는 전입금 규모가 등록금보다 크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다음으로 전입금 비중이 높은 곳은 성균관대(23.8%), 고려대(19.8%), 건국대(17.9%), 한양대(13.4%) 순이었고, 성신여대(1.4%), 세종대(2.6%), 광운대(2.9%), 서강대(2.9%), 숙명여대(4.7%)는 전입금 비중이 5%를 밑돌았다. 한국사학진흥재단 김영찬 대학경영지원팀장은 "등록금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학생에 대한 투자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고 대학의 `빈익빈부익부' 현상을 심화시킨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