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李대통령 연말 정국구상, 내수 활성화해 경제 살리기 '최우선'

개각·청와대 조직개편등 인적쇄신·대북정책 변화 여부도 관심

연말 개각을 비롯한 이명박(MB) 대통령의 정국 구상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대통령은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과 은행 대외채무 지급보증안의 국회 처리 등으로 금융시장이 안정세를 보이자 올해를 마무리하는 정국 구상에 본격 나서려는 모습이다. 여기에는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로 국내 경제가 최악의 국면은 일단 피했지만 미국발 금융 쓰나미가 아직 완전히 가시지 않은 상황이어서 자칫 각종 경제정책의 허리띠를 잠시 느슨하게 풀었다가는 또 다시 큰 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중병설로 한반도 정세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 대통령의 리더십이 흐트러지는 모습을 보일 경우 북핵 협상이나 한반도 문제에서 북한이나 주변 강국에 주도권을 내줄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담겨 있다. 청와대의 한 핵심 참모는 31일 "집권 2년차인 내년에 국정을 정상 궤도에 올리고 MB 노믹스를 본격적으로 펼치기 위해서는 올 한해 남은 2개월간의 정국 구상과 운영이 중요하다는 게 최근 이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우선 오는 11월3일 라디오 연설에서 실물경제 침체에 대비해 정부의 재정역할을 대폭 강화하고 본격적인 내수활성화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국민들에게 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강력한 금융안정책에 힘입어 금융위기가 진정될 기미를 보일 때 확실하게 국민들의 신뢰를 얻어 시장 안정기반을 다지겠다는 뜻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쓰러져가는 경제를 살리는 것은 내수 활성화부터 시작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면서 "당분간 세계경제를 볼 때 내수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며 과감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최근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의 연말 정국 구상에서 개각과 청와대 조직개편 등 인적 쇄신이 이뤄질지 관심사다. 경제위기 조짐이 한풀 꺾이면서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내각과 청와대 핵심 참모의 교체론이 다소 고개를 숙이고 있지만 여전히 불신감이 높아 대폭적인 인적 쇄신이 불가피하다는 여론이 우세하다. 정가에서는 남북관계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전격적인 대북정책 변화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점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