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역경제 살 찌우는 목재산업] 70년대 이후 풍부해진 산림자원 '고부가창출' 기회로

국내 목재업체 70%가 직원 10명 미만 가내수공업 수준

한·중FTA 발효 땐 원목제품 무차별 유입 생존 직격탄

국산재 유통 활성화·목공예 실버산업 육성 지원 통해

2019년까지 목재산업 40조·일자리 15만명 시장으로

단양산림조합이 충북 단양군 적성면 대가리에 설립한 목재 펠릿공장에서 직원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목재를 가공해 고부가가치 상품인 펠릿으로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산림청



충북 단양군 적성면 대가리 목재 펠릿공장. 충북지역에 있는 3개 펠릿공장중 하나로, 연간 펠릿생산량은 7,000톤에 달한다. 전국적으로 21개 펠릿공장에서 생산하는 연간 펠릿 생산량이 9만4,000톤인 점을 감안하면 적지 않은 규모다. 단양산림조합이 처음 만들어 5년째 가동중인 이 펠릿공장의 연간 매출은 21억원. 수익도 수익이지만, 펠릿공장이 들어서면서 지역고용도 늘었다. 산림청 관계자는 "펠릿공장이 세워지면서 조림인력이 연간 6명 필요하고 숲가꾸기 인력 2명, 산림보호 인력 2명, 벌채 인력 2명 등 산림관리 인력 12명의 일자리가 새로 만들어 졌다"고 설명했다. 쓸모없어 버려지던 목재를 가공해 펠릿을 만들어 판매하는 것처럼 목재를 활용한 새로운 고부가 산업들이 서서히 싹트고 있다.

1일 산림청에 따르면 1970년대 치산녹화기 이후 조림한 나무들이 성장하면서 지난해 현재 국내 전체 산림축적이 9억㎥에 달하고 있고, 매년 2,700만㎥의 임목축적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국산재 연간 사용량 490만㎥의 5배를 넘는 규모로 국산재를 활용한 다양한 산업창출이 필요한 타이밍이다.

하지만 국내 여건은 녹록치 않다. 합판·제재산업의 원료는 국내에서 안정적인 확보가 어렵고, 수입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도 뒤져 업계는 고사위기에 직면해 있다. 실제 국내 제재업체의 73%가 직원 10명 미만의 영세업체로 설비노후까지 겹쳐 경쟁력이 매우 낮은 상황이다. 여기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타결되면 중국산 원목제품의 무차별 유입으로 국내 제재업체의 생존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지난해 말 35조원 규모인 목재산업시장을 오는 2019년 40조원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목재산업 일자리도 13만6,000명에서 15만명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이창재 산림청 산림자원국장은 "국토의 64%가 산림인 우리나라는 이를 활용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가 시급하다"며 목재산업 육성 필요성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구체적으로 노후화된 목재생산시설을 현대화해 선진국처럼 목재를 가공해 고부가를 이끌어 낸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해 30억원을 투입해 전국 제재업체 30개소의 시설현대화를 지원하고 전남 장흥에 목재전문산업화단지를 조성해 목공창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목재를 가공해 원목의 35배나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등 캐나다 어빙과 같은 거대 목재기업을 국내서도 만들겠다는 것이다. 캐나다 업체인 어빙은 원목 가공과 운송, 특수 가공, 가구 등의 소비재 생산, 삼림 조성 등의 사업을 하는 곳으로, 전세계 목재산업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또 대부분 수입원료에 의존하다 보니 안정적인 원료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보드·펄프업체에는 국산재 보급을 확대하고 생산자, 유통자, 구매자의 목재직거래 장터인 '우드옥션'의 웹기반 시스템화도 추진해 국산재 유통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목재 펠릿 산업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도 추진한다. 산림면적이 넓어 산림부산물 활용이 용이한 내륙산림지역에 목재펠릿 제조시설 4개소를 설치하고 제재소 등이 많아 부산물 활용이 쉬운 항만지역 4개소에도 펠릿공장을 증설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취미 수준에 머물고 있는 목공을 실버산업으로 새롭게 육성할 계획이다. 목공예 교육기관을 양성하는 자격증을 신설하고 창업지원센터를 설치해 목공기술을 바탕으로 창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남송희 산림청 목재산업과장은 "캐나다 목재기업인 어빙은 나무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최고 35배까지 목재가치를 높이고 있다"며 "녹화성공으로 이룩한 풍부한 산림자원을 이제 일자리 및 신산업창출과 연계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