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다른사람 간 일부 이식 성공

서울대병원 국내최초‥환자사망 위험없어환자 간의 일부만을 절제하고, 그 자리에 타인의 간 일부를 떼어내 붙이는 새로운 간 이식술이 국내 처음으로 성공했다. 서울대병원 간이식팀(이건욱,서경석ㆍ일반외과 , 이국현ㆍ마취과)은 지난달 5일 12시간의 대수술 끝에 '용혈성요독증후군'을 앓고 있던 생후 29개월 된 김모군에게 아버지의 간 일부를 이식하는 수술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서울대병원 간이식팀이 시행한 수술법은 대사 기능에 이상이 있는 김 모군의 왼쪽 간을 떼내고, 그 자리에 아버지(32)의 왼쪽 간(260g 전체의 1/4)을 떼어내 두 간을 붙이는 새로운 간 부분 이식술. 이식팀의 서경석 교수는 "이번 간이식은 환자 간 전체를 떼내는 기존의 이식법과 달리 간의 일부만 떼내고 그 자리에 다른 사람의 간을 이식해 실패할 경우에도 환자가 사망할 위험성이 없으며 간을 주는 사람도 작은 부분만을 떼어내기 때문에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서 교수에 따르면 지금까지는 간 일부를 떼내기가 전체를 떼내는 것보다 어렵고 특히 남아있는 간과 이식할 간의 혈관기능을 보존해가며 이식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간 전체를 이식해 왔으나 이번 수술의 성공으로 간 이식의 새장이 열렸다고 한다. 한편 간 이식술을 받은 김모군이 앓고있던 '용혈성요독증후군'은 간 대사기능 이상으로 인해 적혈구가 깨져 빈혈이 생기며, 혈소판이 감소하고, 급성신부전이 초래되어 지속적으로 혈장(血漿. 혈액을 구성하는 액체성분)을 수혈해주어야 하는 중증 간질환으로 혈장을 수혈하는 동안은 생존할 수 있지만 그 부작용으로 결국 사망하게 된다. 김모군은 생후 4개월부터 일주일에 2~3번 혈장 수혈을 받아 왔으며 그 동안 심부전과 호흡부전, 급성신부전 등으로 인해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치료와 응급 복막투석을 받아 위기를 넘기는 등 어려움을 겪어왔다. 서 교수는 "현재 김모군은 소화기능, 면역기능, 해독작용 등의 기능은 자신의 간이 하고있고, 이상이 있었던 대사 기능은 이식한 아버지의 간이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다"며"수술한 지 4주가 지난 지금 혈장투여 없이 건강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박영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