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젠 환경경영이다] 5. 이제부턴 실천이다

환경투자에 조세·자금지원 강화하자 >>관련기사 기업들의 환경경영은 '비용'이 아니라 '투자'다. 따라서 투자를 많이 하는 기업이 '열매'도 많이 거둘 수 밖에 없다. 환경경영에 적극 나서고 있는 기업들이 늘어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난 6월 한ㆍ일 월드컵에서 보여준 우리 국민들의 성숙한 시민의식은 선진국 수준을 넘어 세계 최고임을 스스로 깨닫게 해줬다. 특히 대규모 거리응원이 끝난 후 젊은이들이 자발적으로 쓰레기를 줍고 거리를 청소하는 모습은 '클린 코리아'를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북돋아주었다. 쓰레기 매립장을 한국 전통의 멋과 첨단 과학기술을 조화시킨 세계 최고수준의 경기장을 탈바꿈시킨 우리의 기술력도 우리에게는 큰 힘이 되고 있다. '깨끗한 나라'를 만드는 기반을 월드컵이라는 거대한 행사를 통해 조성한 것. 이 같은 상황에서 적극적인 실천이 뒷받침 된다면 세계 최고의 환경국가로 만들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지적하고 있다. 박용성 대한상의 회장은 "월드컵에서 보여준 우리 젊은이들의 모습은 누가 시켜서 한 것이 아니라 자발적이었기 때문에 더욱 아름답고 많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며 "우리 경제와 사회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환경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이 아직까지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기업들이 환경관련 투자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다가도 막상 여러 투자분야를 놓고 선택할 때는 가장 뒷전으로 미루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는 아직도 환경에 대한 투자를 비용으로만 생각하는 것은 물론 생산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환경친화기업을 지정하는 등 기업에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기업들이 별다른 특혜를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느끼는 것도 환경투자를 주저하는 이유로 꼽히고 있다. 안기철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환경투자를 안하면 안되도록 규제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업들이 환경투자를 적극적으로 했을 때 이에 따른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제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환경투자에 대한 조세ㆍ기술ㆍ자금 지원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정책지원과 함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업들의 자발적인 실천의지가 '클린 코리아'를 만드는 지름길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지난 3월 삼성전자ㆍLG에너지ㆍSKㆍ한진중공업 등 국내 22개 기업 최고경영자들이 모여 'KBCSD(지속가능발전 기업협의회)'를 창립한 것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임천석 전경련 환경경영팀장은 "이 모임은 기업들이 환경문제에 대해 스스로 대응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기업들이 환경투자를 새로운 사업의 기회라고 판단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기 시작한 것도 큰 변화"라고 강조했다. 환경경영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CEO가 이에 앞장서는 한편 전직원을 적극 동참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제품 개발에서부터 생산공정은 물론 제작, 판매, 애프터서비스 등 모든 과정을 환경성을 염두에 둔 경영을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윤우 삼성전자 반도체 총괄사장은 "환경경영은 의무가 아니라 기업 경영의 핵심요소다. 기업들이 얼마나 빨리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CEO가 구심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경영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아무리 좋은 계획을 세웠더라도 적극적인 실천이 없으면 무용지물이고, CEO의 의지와 실천여부가 환경경영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다는 것이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환경인재를 육성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시급하다. 기업 자체적으로 환경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기업활동 전반을 친환경적으로 바꿀 수 있는 토대를 닦아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환경을 우선 고려한 경영을 하기 위해서는 이에 필요한 마인드를 경영자들과 직원들에게 심어야 하며, 자체 프로그램이나 대학ㆍ사회단체 등 외부기관을 통해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