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정크본드를 잡아라"

"美 정크본드를 잡아라" 수익 재무부채권의 2.5배-기업부도 위험도 낮아져 '10년만에 한번 올까말까 하는 절호의 투자기회' 리먼 브라더스증권의 수석 전략가인 잭 맬비는 사견임을 전제로 올해 미 정크본드시장의 투자전망을 이같이 표현했다. 뉴욕타임스는 7일 맬비 외에도 상당수 재테크 전문가들이 정크본드 투자를 올해 가장 유망한 분야로 꼽고 있다고 보도했다. 메릴린치 증권에 따르면 올해 10년만기 재무부채권 투자자들은 5.46%의 수익에 만족해야 하는 반면 정크본드 투자자들은 이보다 8.87%포인트나 더 높은 14.33%의 수익을 챙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크본드 투자를 권하는 이들은 미 정크본드의 평균 수익률이 현재 14%대로 재무부채권 10년물보다 8% 이상의 고수익을 안겨줄 수 있는 반면 기업부도에 따른 위험은 예년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지난해 11월까지 1년간 회사채 부도율은 5.4%를 기록,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91년의 10%에 비하면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아 '고수익 저위험'의 기회를 투자자들에게 안겨줄 수 있다는 얘기다. 이들은 또 현재 정크본드 이외에 투자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매력적 투자대안이 없다는 점도 추천근거로 들고 있다. 지난해 4ㆍ4분기 이후 미국 경제 경착륙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면서 증시침체, 재무부채권 가격 상승, 달러화 가치조정 등의 현상이 연쇄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분야가 거의 없다는 게 이들의 지적이다. 지난 3일에 이어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올해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하하리라는 관측도 정크본드 시장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예상보다 금리인하의 폭과 속도가 빨라져 정크본드 발행기업들이 이자지출 등 금융비용을 줄일 수 있어 부도율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정크본드 투자를 권하는 전문가들은 개인 투자자들이 고수익보장이란 말에 개별 기업의 회사채를 사들이거나 고액 수익을 보장하는 일부 펀드의 광고문구에 현혹되어서는 안 된다는 충고도 곁들이고 있다. 아무리 위험이 낮아졌다고 해도 투자등급이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정크본드의 속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김호정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