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단기외채 지급능력 금융위기 후 가장 양호

전체 대외채무서 비중 26.9%로↓


우리나라의 단기 대외채무 건전성이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은행의 '2015년 3월 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를 보면 3월 말 현재 대외채무 잔액(외국에서 빌린 돈)은 4,189억달러로 2014년 말 대비 65억달러 줄었다. 이 가운데 단기외채는 1,128억달러로 전체 대외채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말의 27.1%에서 26.9%로 소폭 낮아졌다.


단기외채 비중은 경상수지·외환보유액과 함께 국가의 대외지급 능력을 측정하는 3대 지표로 꼽힌다. 만기 1년 미만의 회사채, 차입금 등은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때 한꺼번에 빠져나갈 수 있는 자금으로 구분된다. 단기외채 비중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9월 말 51.9%에 달하다가 2013년에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20%대로 떨어졌고 2년 연속 이 수준을 유지했다.

관련기사



단기적인 대외지급 능력을 나타내는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도 2014년 말 31.7%에서 31.1%로 낮아졌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은행의 현금 및 예금 감소 등으로 단기외채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3월 말 기준 한국의 대외채권 잔액은 6,818억달러로 2014년 말(6,789억달러) 대비 28억달러 증가했다. 대외투자 잔액은 1조1,041억달러로 지난해 말 대비 239억달러 증가했다. 외국인투자 잔액은 1조236억달러로 지난해 말 대비 253억달러 증가했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국내주가 상승 등의 비거래 요인으로 증권투자 잔액이 212억달러나 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 측은 "장단기 외채가 모두 감소하면서 외채 건전성 및 지급능력 지표가 개선됐다"며 "향후 미국 금리인상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해 외화자금시장 및 외국인 증권투자 등을 중심으로 외채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안정적으로 대외 건전성을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