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유엔 미얀마 제재 촉각

안보리, 특사 입국허용 촉구… G8·EU도 잇단 경고

유엔 미얀마 제재 촉각 군부 발포로 일본인 포함 9명 사망안보리, 특사 입국허용 촉구 강동호 기자 eastern@sed.co.kr 미얀마가 19년만에 최대 규모의 시위로 사실상 국가비상사태로 접어든 가운데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對)미얀마 제재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이 반대 의사를 거듭 밝히고 있어 제재의 실행 여부가 주목된다. 미얀마 군부는 27일(현지시간) 무장군인과 경찰을 동원해 10일째 시위를 벌인 7만여명의 군중을 강제해산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시위군중에게 발포, 일본인 1명을 포함한 9명 이상이 사망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앞서 26일 긴급회의를 개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미얀마 특사 파견 결정을 환영하며 미얀마 당국이 조속히 특사의 입국을 허용하라고 촉구했다. 이 회의에는 반 총장에 의해 미얀마 특별자문관으로 임명된 이브라힘 감바리 전 유엔 정무담당 사무차장이 참석했다. 잘마이 칼릴자드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이날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더 많은 미얀마 시민들이 희생된 후 특사가 중대 지역(미얀마)을 방문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 미얀마에 대한 조치가 빨라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감바리 특사도 이날 안보리 이사국들에 행한 연설에서 "미얀마 당국이 폭력과 강제진압의 시대로 뒷걸음질 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미래를 위해 협상의 길로 나아갈 것인가 갈림길에 서 있다"고 강조했다. 유엔 안보리의 이런 움직임은 유럽연합(EU)과 미국이 이날 유엔 안보리에 대해 미얀마 제재 검토를 요청하고 미얀마 군부의 반정부 시위 유혈진압을 비난한 데 이어 나온 것으로 미얀마 제재가 임박한 것으로 해석됐다. 하지만 중국은 이번 미얀마 사태에 우려를 표명하면서도 유엔의 대 미얀마 제재결정 혹은 미얀마 당국의 폭력진압과 관련한 규탄 성명 발표 등에는 즉각 반대 입장을 밝혔다. 왕광야(王光亞) 유엔주재 중국 대사는 기자들에게 "우리는 (미얀마에 대한) 제재가 현지의 상황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26일 서방 선진8개국(G8)과 유럽연합(EU) 국가들은 미얀마 군사정부의 폭력적인 민주화 시위 진압을 비난하고 군사정부 지도자들은 그들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입력시간 : 2007/09/27 16:5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