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기업 「부도공포」 확산/자금악화설 여파

◎주가폭락·여신회수로 「신용공황」 우려/부도방지협약 되레 자금난 가중진로에 이어 대농이 「부도방지협약」 대상기업으로 선정되면서 금융기관들의 어음회피 현상이 보편화되고 있고 자기앞수표 위조사건마저 크게 늘고 있어 신용공황까지 우려되고 있다. 증시와 금융권에서는 부채비율이 높은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자금악화설」 「부도방지협약 적용설」이 급속도로 유포되면서 속수무책으로 해당기업 주가가 폭락하고 금융기관들이 대출을 꺼리며 서둘러 여신회수에 나서는 등 정상적인 금융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부도에 대한 공포감이 확산되고 있다. 21일 증시에서는 30대 계열기업군에 속한 두개의 재벌그룹과 모중견기업이 자금악화설과 함께 부도방지대상기업으로 선정되거나 혹은 부도로 이어질 것이라는 풍문에 휘말리면서 주가가 폭락하는 곤욕을 치렀다. 종금사들 역시 부도설이 도는 기업에 대한 채권을 분할회수하고 있으며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초단기로 어음만기를 연장해주고 있다. 종금사들은 일부 대기업어음에 대해서도 어음할인을 꺼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계에서는 부도방지협약이 존속하는 한 제1, 2금융권, 기업간에 불신의 골이 깊어지면서 금융기관들이 재무구조가 취약한 기업들로부터 적극적으로 여신을 회수하려는 경향을 보일 수밖에 없고 이는 다시 증시에서 자금악화설로 이어지면서 결국 제3, 4의 진로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김상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