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종합] 우리금융지주 3개 그룹으로 나눠 매각

정부가 우리금융지주를 지방은행·증권·우리은행 등 3개 그룹으로 나눠 팔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26일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민영화 방안을 공개했다.

다음달 15일 경남은행·광주은행 등 지방은행 계열에 대한 매각공고를 내고 7월 중 우리투자증권·우리자산운용 같은 증권계열의 공고도 낸다. 우리은행계열은 내년 초 매각을 시작해 내년 말까지 모든 절차를 완료한다. 남상구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장은 “자회사별 잠재투자자 수요 등 시장 수요에 맞게 자회사 분리매각을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복잡한 매각과정에서 구체적 일정을 미리 제시함으로써 매수자의 예측가능성을 높여 제값을 받기 위한 노력”이라면서도 “수요자와의 협상 중 가격이 맞지 않거나, 시장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변경될 여지가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지방은행의 경우 정부는 우리금융지주를 인적분할해 경남은행지주와 광주은행지주를 설립하고, 각각 경남은행과 광주은행과 합병해서 은행 형태로 판다. 매각 주체는 현재 우리금융지주의 대주주(56.97%)인 예금보험공사다. 일부 지분매각 없이 예보가 보유한 지분 전체(56.97%)를 한꺼번에 판다.

증권계열의 경우 정부는 지방은행과 증권계열을 동시에 매각하겠다고 했다. 우리투자증권 우리자산운용 우리아비바생명 우리금융저축은행은 한번에 팔고 시장에 수요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 우리F&I와 우리파이낸셜은 각각 따로 팔 계획이다.

우리금융지주의 핵심 계열사인 우리은행에 대한 매각공고는 내년에 이뤄진다. 우리은행도 금융지주와 합병한 뒤 매각한다. 우리카드와 우리PE 우리FIS 금호종금 우리금융경영연구소와 증권계열 중 매각이 되지 않은 자회사는 합병 후 우리은행의 자회사가 되어 우리은행과 함께 매각될 예정이다.

신 위원장은 “지금 매각하는 것보다 시차를 두고 매각하는 것이 매각 가능성을 높인다고 봤기 때문”이라며 “은행지주회사를 은행 형태로 바꾸면 금융지주회사의 엄격한 소유규제를 벗어날 수 있고, 자회사를 먼저 매각하면 매각 규모를 줄이고 인수자 자금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