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항생제 내성균 치료길 열린다

생명硏 류충민 박사팀

냄새가 세균간의 중요한 대화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슈퍼박테리아연구센터 류충민ㆍ김광선 박사팀이 특정 세균의 냄새가 다른 세균에게 영향을 주며 냄새가 세균의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변화시킨다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세균을 키우는 배지 중간을 막은 다음 한쪽에는 된장냄새를 풍기는 고초균과 다른쪽에는 대장균을 각각 배양한 후, 공간적으로 분리된 조건에서 고초균의 냄새가 대장균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유전체기술을 이용해 분석했다.

관련기사



냄새를 풍긴지 6시간만에 대장균의 160개 유전자의 발현이 급격하게 변했고, 그 중 운동성 관련 유전자 및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유전자가 냄새에 특이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초균의 휘발성물질로 처리해 운동성이 사라진 대장균을 대상으로 항생제에 대한 반응성을 조사한 결과, 총 13종 항생제에 대한 대장균의 민감도에 변화가 발생했으며 3종의 세파로스포린계열 항생제에 대한 유효성이 증가했다.

류충민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휘발성물질이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세파로스포린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 보완 첨가물질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의미한다”면서 “향후 세균 내 항생제 내성 조절 메카니즘 연구를 통해 수퍼박테리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본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