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천시 투자유치안 대부분 '재탕'

관련법 개정 필요해 단시일내 실현도 어려워

인천시가 10일 내놓은 투자유치 활성화 계획이 가까운 시일 내에 실현되기가 사실상 불가능한데다 대부분 기존 내용을 재탕한 것이어서 빈축을 사고 있다. 인천시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을 비롯해 공항과 항만배후단지, 산업단지, 구도심 재생사업지구 등을지역과 기능에 따라 4개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성에 맞게 투자유치를 하겠다는 내용의 투자유치 활성화 추진계획을 이날 발표했다. 시는 이를 위해 시 경제수도추진본부장과 코트라, LH, 항만ㆍ공항공사 관계자들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기로 했다. 하지만 당장 이 같은 계획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수도권정비법시행령 등 관련법과 규정의 개정이 필요해 가까운 시일 내에 현실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더욱이 시가 이날 내놓은 맞춤형 투자유치방안은 지난 10월 송영길 시장 취임 100일에 맞춰 밝힌 내용을 재탕하거나 기존에 해오던 사업을 열거한 수준에 불과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송도글로벌대학캠퍼스와 연세대국제캠퍼스를 조성하고 중구 인천국제공항 인근에 보잉사 항공트레이닝 센터를 건립하겠다는 계획은 2~3년 전부터 사업이 추진됐거나 이미 협약을 맺은 사업들이다. 또 의료관광사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은 지역 내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할 만한 유명 병ㆍ의원 등 의료시설이 부족하고 시가 직접 주도할 수 없는 민간의료기관 중심이라는 여건을 감안할 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인천경실련 관계자는 "시가 밝힌 일자리 창출 및 투자유치 활성화 방안은 실행계획을 담고 있지 못해 시민들로부터 호응을 받기 어렵다"면서 "인천시의 보다 구체적인 대책이 아쉽다"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맞춤형 기업유치 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에 외국기업 또는 외국합작기업 뿐만 아니라 국내 대기업이 단독으로 입주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에 산업단지 신규지정을 건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구도심 재생사업지구에는 의료산업과 갤러리 등 친 시민적 기업을 유치해 경제자유구역과 균형적 발전을 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