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FTA 날개 단 중기수출] <4> 원산지 증명 해법은

ERP 연계시스템 구축땐 인력·비용 줄어 걱정 뚝<br>자체개발 감당키 힘든 중기엔 중기청 개발비 최대 50% 지원

산업용 체크밸브 전문업체인 우성밸브는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찍부터 프랑스, 싱가포르, 일본, 미국 등 해외 진출에 힘써왔다. 한-EU FTA로 관세 혜택이 생기자 이 회사는 신속하게 원산지 증명을 받았다. 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갖게 된 우성밸브는 한ㆍ미 FTA에 앞서 중소기업청과 세관 등에서 하는 원산지증명 교육에 적극 참여했다.

그 결과 우성밸브는 지난해 8월 미국 식품가공공장 플랜트 건설에 들어갈 10만달러 규모의 체크밸브 계약을 수주하는 결실을 맺었다. 우성밸브의 지난해 대미 수출 실적은 77만7,000달러로 2011년 17만3,000달러에 비해 무려 3.5배나 늘어났다. 뛰어난 기술력과 노하우, 그리고 FTA를 미리 대비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한 결과 미국이라는 거대 시장의 문을 활짝 연 것이다.

철저한 준비를 통해 FTA를 활용한 우성밸브는 매출이 급증하고 있지만 대부분 수출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원산지 증명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FTA에 따른 관세혜택을 받으려면 해당 제품이 국내에서 생산됐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그러나 중소기업이 감당하기엔 그 절차가 워낙 복잡하고 까다로운게 문제다. 특히 지난해 11월부터 한국 수출기업의 원산지 증명서 발급에 대한 미국의 사후검증까지 본격화하고 있어 중소기업들의 부담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수출업체 관계자는 "미국, 유럽 등과 FTA체결로 수출 상담과 수출 주문이 증가하는 등 실제 효과를 보고 있다"면서도 "관세감면 대상품목으로 지정된 제품의 경우 원산지 증명 절차가 까다롭고 만만치 않아 기대감보다 부담이 더 커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고충을 털어놨다.

관련기사



지난달 중소기업중앙회가 미국 수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출애로를 조사한 결과 '원산지증명 발급(24.0%)'이 '신규 바이어 발굴(29.9%)'에 이어 업계의 큰 부담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곤 원산지증명 시스템을 갖춘 중소기업이 거의 없다는 것. 원산지를 증명하려면 부품이나 원재료 등이 어디서 언제 얼마나 들어왔고, 언제 출고됐는지를 한 눈에 알 수 있는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ERP)이 마련돼 있어야 한다. 하지만 중소수출업체에겐 인력이나 비용면에서 감당키 힘든 작업이다.

사정이 이렇자 중소기업청과 관세청 등은 두 팔 걷어 붙이고 관련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지원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중기청은 특히 기업들이 최우선 개선사항으로 꼽은 까다로운 원산지증명서 발급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중소기업이 자체 구축한 ERP시스템과 FTA-Pass(관세청), FTA-KOREA(산업부)간 연계모듈 개발을 돕고 있다. 원산지증명업무 처리를 위해서는 원자재, 부품, 가격, 거래선 등의 자료를 입력해야 하는데, 생산제품이나 부품 등의 종류가 많은 기업들의 경우 데이터 입력, 관리에 상당한 시간, 인력, 비용이 투입된다. 이에 기업들이 기존부터 구축돼 있는 ERP의 데이터를 추출, 원산지 증명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

중기청은 또 중소기업이 ERP 등 사내 정보시스템과 연계한 맞춤형 원산지 증명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해 주고 있다. 규모는 한 업체당 총 개발비용의 50% 이내로 최고 1,000만원까지다. 올해는 좀 더 많은 수출기업들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지원 예산과 규모를 대폭 늘렸다. 지난해 134개사에 13억원을 지원하는데 그쳤지만 올해는 이에 비해 대폭 늘어난 200개사에 2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관세청도 기존 표준원산지관리시스템인 'FTA-PASS'에 이어 또 하나의 '간편 발급 FTA-PASS'를 개발해 기존 6단계를 4단계(준비→등록→판정→ 발급)로 줄여 수출기업의 수고를 덜어줬다. 중기청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FTA 교육을 통해 수출기업들에 원산지증명에 대한 도움을 주고 있다"며 "중소기업들이 원산지 증명을 가장 어려워 해 컨설팅을 실시하면서 홍보도 강화하는 등 수출 확대를 꾀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최용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