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도청 불가능한 통신기술 개발

KIST 문성욱 박사팀 '양자암호' 시스템 구현<br>국내선 처음…군대·은행등에 우선 보급계획

도청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차세대 양자(量子) 통신 기술이 국내 최초로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마이크로시스템연구센터 문성욱 박사팀은 8일 이 같은 양자 암호통신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성공, 이를 상용화해 우선 군대나 은행 등 통신보안이 필수인 기관에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양자암호 통신 개발은 미국ㆍ스위스에 이어 한국이 세계 세번째다. 양자암호 통신은 빛의 가장 작은 입자인 양자 하나하나에 정보를 실어보내는 첨단 광통신으로 도청을 위해 제3자가 이 양자신호를 가로챌 경우 수신자가 신호 자체를 받을 수 없어 ‘몰래 엿듣기’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문 박사팀은 위상 및 편광보정 기술과 파장분할광통신(WDM)을 이용한 단일 채널 방식으로 단일광자를 100㎞까지 전송하는 데 성공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인 단일광자 검출 효율 26%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암호체계는 미국에서 개발한 공개키 방식으로 120자리 수를 소인수 분해하기 어려운 점을 이용한 암호생성 방식이다. 그러나 고성능 컴퓨터가 개발될 경우 암호가 해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졌다. 문 박사는 “현재는 시스템 가격이 수억원대로 예상돼 우선 군대나 은행 등 기관 통신용으로 실용화할 수밖에 없다”며 “앞으로 가격이 싸지면 도청 가능성 0%의 개인용 양자 통신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