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고유가 처방 "공급늘려야" "소비 줄여야"

부시 "알레스카 석유등 적극개발 나서야"…케리 "자동차 연비상향 대체에너지 이용"

‘치솟는 국제에너지가격으로부터 미국 경제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존 케리 민주당 후보는 고유가 문제에 대한 해답에서도 엇갈리고 있다. 저금리, 감세 등 공급 중심의 경제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부시 대통령은 에너지 문제에서도 공급확대를 강조하고 있다. 반면 케리 후보는 에너지 효율성 제고, 대체에너지 개발 등을 통해 화석연료수요를 줄이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주장한다. 부시 대통령은 “공급을 늘리는 것이 에너지가격안정에 가장 효율적인 대책”이라며 환경단체 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알라스카의 석유, 록키산맥의 천연가스를 적극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케리 후보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공화당의 에너지 법안에 반대하고 있다. 대신 자동차의 연비를 2015년까지 리터당 11.4km에서 15km로 높일 것을 의무화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이렇게 하면 하루 200만배럴의 석유를 아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전력회사들이 2020년까지 전력 생산량의 20%를 태양열, 풍력 등 대체에너지를 이용해 생산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단기 유가안정대책에 있어서도 양측의 해법은 엇갈리고 있다. 케리 후보측은 “중동지역의 혼란과 미국에 대한 적대감은 부시 행정부의 일방주의적 외교정책 때문”이라며 자신이 당선된다면 중동의 정세안정을 지원하는 동시에 산유국들을 설득해 원유생산을 늘리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미국이 비상상황에 대비해 비축해 놓고 있는 전략비축유(SPR)확대 프로그램을 중단해 공급의 숨통을 틔우겠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측은 고유가는 중동지역의 혼란 때문이 아니라 전세계적 수요증가와 러시아에서의 공급차질 때문이라고 맞받아치고 있다. 또 현재 미국의 하루 석유소비량이 2,000만배럴인데 전략비축유 증가량인 하루 12만배럴을 줄인다고 공급 상황이 크게 개선되지는 않는다고 주장한다. 부시 행정부는 에너지 안보를 위해 6억6,560만배럴의 전략비축유를 7억배럴로 늘릴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