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헌재, 주소 自書·날인 없는 유언장은 무효

"민법규정 합헌"

날인이 없거나 주소를 직접 쓰지 않은 유언장은 무효라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나왔다. 헌재 전원재판부는 백모씨가 “‘주소의 자서(自書)’와 ‘날인’을 자필 유언장의 유효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민법 조항이 기본권을 침해한다”며 낸 헌법소원에 대해 합헌 결정을 했다고 1일 밝혔다. 현행 민법 제1,066조는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은 유언자가 그 전문과 연월일, 주소, 성명을 자서하고 날인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헌재는 ‘날인’ 부분에 대해 “유언자의 사망 후 진의를 확보하고 상속재산을 둘러싼 이해 당사자들 사이의 법적 분쟁과 혼란을 예방하며 법적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며 재판관 8(합헌):1(위헌) 의견으로 합헌 결정을 했으며, ‘주소’ 부분에 대해서도 “성명의 자서에 주소의 자서까지 요구함으로써 유언자가 보다 신중하고 정확하게 유언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고 5(합헌):1(한정위헌):3(단순위헌) 의견으로 합헌 결정을 했다. 한편 김종대 재판관은 “날인은 위조가능성이 커 의사의 최종적 완결 방법으로는 부적당하고 주소 역시 불필요하게 중복적인 요건을 부과하는 것이다”며 주소ㆍ날인에 대해 모두 위헌이라고 판단했으며, 조대현 재판관은 “유언자의 주민등록번호 등 유언자를 특정할 수 있도록 기재돼 있는 경우에도 주소를 자서하도록 하는 것은 유언자필증서의 효력을 부인하는 것으로 헌법에 위반된다”며 주소 부분에 대해 한정위헌 의견을 냈다. 백모씨는 할아버지가 부동산 및 기타 일체의 재산을 자신에게 상속한다는 유언자필증서를 남기고 사망하자 법정 상속인들을 상대로 소유권이전등기 청구소송 등을 제기했으나 1ㆍ2심은 “날인 또는 무인이 없고 주소 역시 직접 쓴 것이라고 보기 힘들다”며 백씨에게 패소판결을 했다. 백씨는 이에 불복,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을 했으나 기각됐고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