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美재벌규제관련 주장 잘못된 인식에서 출발"

김종훈 수석대표 일문일답

김종훈 수석대표는 “상품 양허안(개방안), 서비스 유보안(개방불가 부문) 논의와 더불어 ‘양허안과 유보안이 없는 분야의 개방원칙을 어떻게 하느냐’” 3가지를 FTA 협상의 핵심으로 꼽았다. 상품과 서비스 개방계획에 이은 각 부문의 개방원칙에 대한 한미간 진척상황을 김 대표로부터 들어봤다. -무역구제 분과에서 진전이 있었나. ▦미국 측이 반덤핑 규제 완화와 관련된 무역구제 분과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우리가 조목조목 준비한 주장들을 경청했으며 의문점들에 대해 묻기도 했다. -재벌규제와 관련,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성명까지 냈다. 실제로 우려할 만한 것인가. ▦기업집단이라고 부르는 것이 맞는데 재벌이라고 지칭한 것은 처음부터 미측이 그릇된 인식을 보였다고 여겨진다. 공정거래에 관한 여러 법령이 기업집단에 엄격히 적용 및 집행되고 있으며 경제력집중과 공정경쟁 시각에서 기업집단에 공정거래법이 더 엄격히 집행되고 있다는 얘기를 했다. 미측 주장은 잘못된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다. -총칙 분야의 3차 협상이 끝났는데 진전이 있었나. ▦협정문의 영문본뿐 아니라 한글본의 효력도 동등하게 인정한다는 데 대체적으로 의견 접근을 이뤘다. 미측이 입법예고기한을 20일에서 60일로 늘리라고 주장했지만 우리측은 반대했다. -개성공단 문제와 투자자의 정부 재소권 문제는 어떤가. ▦논의했지만 진전이 없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